초등학교 담임교사의 정서인식 명확성과 교사-학생 관계 :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
The clarity of emotion perception and Teacher-student relationship among elementary school homeroom teacher
- 주제(키워드) 정서인식 명확성. 교사-학생 관계. 친밀. 갈등. 소진. 초등학교 담임교사 , Emotional Clarity , Teacher-Student Relationship , Intimacy , Conflict , Burnout , Elementary School Homeroom Teacher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조영주
- 발행년도 2018
- 학위수여년월 2018.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63355
- UCI I804:11029-000000063355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는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정서인식 명확성이 교사-학생 관계에 영향과 이들 관계에서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정서인식 명확성이 높을수록 교사-학생 관계 중 친밀이 높을 것이다. 둘째,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정서인식 명확성이 높을수록 교사의 심리적 소진이 낮고, 따라서 교사-학생 관계 중 친밀이 높 을 것이다. 셋째,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정서인식 명확성이 높을수록 교사-학생 관계 갈등이 낮을 것이다. 넷째,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정서인식 명확성이 높을수록 심리적 소진이 낮고 따라서 교사-학생 관계 갈등이 낮을 것이 다. 이러한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서 교사관련 인터넷 카페를 통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초등학교 담임교사 242명의 설문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조사 도구는 정서인식 명확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Salovevy 등(1995)이 개발하고 이훈구와 이수정(1997)이 번안하여 타당화한 특질 상위-기분 척도를 사용하였고, 교사-학생 간 인간관계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Pianta(1992)가 고안하고 권선구(2013)가 타당화 작업을 거쳐 번역 수정한 교사-학생 관계 척도-단축형 중 학급 학생 전체를 대상으로 한 STRS-SF/C 형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교사의 심리적 소진을 알아보기 위하여 Maslach와 Jackson(1981)의 Maslach Burnout Inventory를 김정휘(1992)와 강학구(1996)가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정서인식 명확성이 높을수록 교사-학생관계 하위 척도 중 친밀이 높아지는 유의한 정적상관 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정서인식 명확성이 교사-학생 관계의 친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심리적 소진을 매개로 하는 간접적인 경로를 통해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정서인식 명확성이 높을수록 교사-학생관계 하위 척도 중 갈등이 낮아지는 유의한 부적상관 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넷째,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정서인식 명확성이 교사-학생 관계의 갈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심리적 소진을 매개로 하는 간접적인 경로를 통해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자신의 정서를 잘 알아차리고 이를 이해하여 언어로 명명할 수 있는 초등학교 담임교사는 심리적 소진을 낮추어 교사-학생 관계에서 친밀감은 높이고 갈등은 낮추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초등학교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교사의 정서인식 명확성과 교사-학생 관계, 심리적 소진의 관계를 연구함으로써 학교 현장에서 교사의 심리적 소진은 낮추고, 교사-학생 관계에서 친밀감은 높이고 갈등관계는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교사의 정서인식 명확성을 높일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및 교사 연수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more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elementary school homeroom teacher’s emotional clarity and mediating effect of burnout on teacher-student relationship. For the research, this study set the following research hypothesis. First, teacher and student would have be intimate when homeroom teacher has high emotional clarity. Secondly, teacher’s burnout would be lower when homeroom teacher has high emotional clarity resulting in higher intimacy between teacher and student. Third, teacher and student would have lower conflict when homeroom teacher has high emotional clarity. Fourth, teacher’s burnout would be lower when home homeroom teacher has high emotional clarity resulting in less conflict between teacher and student. To verify above research hypothesis, this study conducted online survey on users of Internet café for teachers and analyzed questionnaires from 242 elementary school homeroom teachers. For research tool, this study used trait meta-mood scale developed by Salovevy(1995) and adapted by Hungu Lee and Sujung Lee(1997) to measure the emotional clarity. Furthermore, to identify the awareness on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student, this study used STRS-SF/C type scale among teacher-student relationship scale devised by Pianta(1992) and validified, translated, and revised by Sungu Kwon(2013). Also, to identify the teacher’s burnout, this study used ‘Maslach Burnout Inventory’ developed by Maslach and Jackson(1981) and adapted by Jungwhee Kim(1992) and Hakgu Kang(1996).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result showed th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homeroom teacher’s emotional clarity and intimacy between teacher and student. Secondly, the research resulted indicated that homeroom teacher’s emotional clarity had direct influence on intimacy between teacher-student and that emotional clarity had influence through indirect path having burnout as mediator. Third, the research result showed that homeroom teacher’s emotional clarity had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ith conflict between teacher and student. Fourth, homeroom teacher’s emotional clarity had direct influence on conflict between teacher and student. Also, homeroom teacher’s emotional clarity influenced on conflict between teacher and student through indirect path having burnout as mediator. Above research result showed that the elementary school homeroom teacher who can understand his or her emotion and convert the emotion in language has the ability to lower burnout to enhance intimacy and lower conflict in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student. This study conducted research on elementary school homeroom teacher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emotional clarity and teacher-student and burnout. I hope this study would contribute in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 and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lowering teacher’s burnout at school, enhancing intimacy, and lowering conflict between teacher and student.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