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영어교과서 문화적 내용 분석
- 주제(키워드) 2015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 , 고등학교 영어 , 고등학교 영어교과서 , 문화교육 , 핵심역량 , 내용 체계표 , 교과서 분석 , the 2015 revised English curriculum ,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 cultural education , key competencies , content framework , textbook analysis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박은성
- 발행년도 2018
- 학위수여년월 2018.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영어교육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63340
- UCI I804:11029-000000063340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는 문화적 다양성과 문화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한 2015 개정 영어 교육과정에 따라 발간된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의 문화적 내용 구성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 5종을 선정하여 2015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한 소재와 핵심 역량의 반영 정도, 문화 유형 및 배경에 따라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19가지 소재 중 반영 정도가 가장 높은 소재는 ‘민주 시민 생활, 인권, 양성 평등, 글로벌 에티켓 등 시민 의식 및 세계 시민 의식을 고취하는 내용’과 ‘정치, 경제, 역사, 지리, 수학, 과학, 교통, 정보 통신, 우주, 해양, 탐험 등 일반교양을 넓히는 데 도움이 되는 내용’이었다. 이 두 가지 소재는 학생들에게 영어가 매개가 되어 다양한 문화권 및 소재를 접하게 하려는 의도로 파악된다. 또한 개정 교육과정에서 가장 강조한 핵심역량의 반영 정도를 살펴보면 ‘공동체 역량’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개정 교육과정의 목표에서도 문화적 다양성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듯이, 세계 시민으로 살아가기 위해서는 ‘공동체 역량’이 필수적이며 이에 대한 강조가 교과서에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둘째, 문화 유형 분석 기준에 따르면 물질문화와 정신문화가 거의 비슷한 비율로 5종의 교과서에 반영되었다. 우선 물질문화는 학생들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학습동기를 유발하는 효과를 위해 높은 빈도로 사용된 것으로 보이며, 정신문화는 교과서를 공부하는 학생들이 고등학생임을 감안하여 높은 수준의 문화유형을 택하여 교과서를 구성한 것으로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문화배경의 측면에서는 보편문화의 비중이 가장 높았다. 이는 더 이상 영어 교과서가 영미권 문화에 국한되지 않고 국제어로서 사용되는 영어의 특징을 적극 반영하여 보편문화에 대한 내용을 비중 있게 다룬 것으로 해석되어진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문화교육을 위한 제언을 다음과 같이 하고자 한다. 우선,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19가지 소재의 분류는 영어 교과서에서 다루는 내용의 범위를 좁게 만드는 가능성이 있다. 소재의 영역을 나누어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것이 효과적인지 재고할 필요가 있다. 둘째, 분석대상인 5종의 교과서가 읽기 영역에 더불어 문화파트를 따로 두고 있는데, 이 부분이 다소 형식적이거나 단순 사실 열거에 불과하여 유의미한 문화학습으로 이어지지 못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는 학습자들이 좀 더 문화적 내용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교과서의 학습내용 및 활동을 구성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more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ultural contents of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based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or the research, five English textbooks for highschool students were selected. These books were analyzed according to competencie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ypes of cultural contents, and regional backgrounds of cultural contents and main subject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citizenship awareness’ and ‘acquisition of new knowledge’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content areas among the 19 main subject area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se two contents seem to be used to provide the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come in contact with various cultures and subjects. In addition, the most emphasized competence in the surveyed textbooks was the competence to feel empathy for what’s happening in their own communities and be active in solving the problems. Given that cultural variety was emphasiz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competence, which is deemed essential to live in the globalization era, was also stressed in the textbooks. Secondly, with regard to the types of cultural contents, ‘material culture’ and ‘ideas’ were equally reflected in the textbooks. The ‘material culture’ is useful to stimulate students’ curiosities and motivate their learning, so the contents concerning ‘material culture’ appeared frequently. Also, since ‘ideas’ are appropriate for the intellectual level of the high school students, the contents also frequently included. Lastly, for the background of cultural contents, the general aspects of all cultures appeared frequently. It means that the textbooks show the intention not to be biased to particular cultural backgrounds.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wo issues need to be considered in incorporating culture into the English curriculum. First, the contents framework that extracts the content elements to be learned in the English curriculum do not seem to contain sufficient information, as the framework can make the culture learning narrow. In addition, all the five textbooks contained a separate culture section in all lessons. However, some of these sections did not seem to have clear educational purposes, consisting of mere arrangement of simple cultural facts, and failing to lead to meaningful cultural learning. In order to promote a more meaningful learning experience, the contents of textbooks should be carefully selected and organized based on students’ cultural background and cultural awarenes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