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년층의 치매에 대한 지식, 태도 및 관심이 치매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 : 서울·경기지역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Knowledge of Dementia, Attitudes and Interest on the Prevention Behavior on Dementia in middle-aged people - focused on Seoul and Gyeonggi area -
- 주제(키워드) 장년층 , 치매 , 치매지식 , 치매태도 , 치매관심도 , 치매예방행위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 지도교수 강선경
- 발행년도 2018
- 학위수여년월 2018.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신학대학원 사회복지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63320
- UCI I804:11029-000000063320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는 장년층의 치매에 대한 지식, 태도 및 관심이 치매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서울과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만 55세 이상 만 64세 이하 일반 장년층을 중심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자료수집 기간은 2018년 3월 7일부터 3월 23일까지이며, 연구자가 직접 시청, 구청 등에 방문하여 설문을 진행하였다. 배부된 설문지 320부 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하고 총 307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종속변수는 치매예방행위이고, 독립변수는 치매지식과 치매태도와 치매관심도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기술적 통계, 빈도분석, t-test, One-way ANOVA,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변수의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치매지식, 치매태도, 치매관심도 순으로 변수를 투입하였다. 그 결과 학력이 높을수록, 종교가 있는 경우, 직업은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 주관적 건강상태가 낮을수록, 치매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치매관심도가 낮을수록 치매예방행위를 더 잘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치매지식은 치매예방행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more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Knowledge of Dementia, Attitudes and Interest on Dementia prevention Behavior in the middle-aged 55 to 64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area.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March 23, 2018 to March 7, 2018, by visiting the city hall and district office directly. A total of 307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out of 320 after excluing incompleted questionnaires.The dependent variables of this study were the prevention Behavior of Dementia and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Dementia knowledge, Dementia Attitudes and interest on Dementia. The collected data was statistically treated with SPSS 21.0 program;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variables. Data selected in order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dementia knowledge, dementia attitudes, and interest on dementia. As a result, the higher the degree of education, case of a person with a religion, case of a person without a occupation, the lower the subjective health condition, the higher positive the dementia attitude, and the lower Interest in dementia, the better the prevention behavior on dementia was performed. However, the effect of dementia knowledge on the prevention Behavior of Dementia was not significant.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