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미식축구 선수들의 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요인 관계 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Among college football players
- 주제(키워드) 미식축구 , 대학미식축구 , 자기효능감 , 진로결정요인 ,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이의재
- 발행년도 2018
- 학위수여년월 2018.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체육교육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63319
- UCI I804:11029-000000063319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는 대학 미식축구 선수들의 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과의 관계를 조사 분석하여 비인기종목인 대학 미식축구 선수들의 진로 미결정 상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함과 동시에 올바른 장래 선택 및 진로설계에 실제적인 도움을 주고자 한다. 또한, 자기효능감이 낮은 대학 미식축구 선수들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며, 미식축구의 저변 확대와 제도적 차원의 지원을 위한 구체적인 도움의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중점을 두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한 조사 대상은 대한미식축구협회에 등록되어 있는 서울, 경기 지역의 4년제 대학에 재학중인 대학 미식축구 선수 25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표본 추출은 편의표본추출로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 중 응답이 누락되거나 불성실하게 응답하였다고 판단한 5부를 제외한 총 252부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의 자기효능감 척도는 Bandura의 자기효능감 이론을 이용하여 (홍현경,2011;이정애,2009)의 설문지를 수정 ·보안하여 번안한 것을 설문지로 사용하였으며, 진로결정요인에 관한 척도로는 Crites(1978)의 진로성숙도 모형에 기초한 CDMSE-SF(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 Tayor & Betz, 1983)의 50문항 중에서 총 25개문항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단축형척도를 (이은진, 2001)이 번역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하위척도로는 자기평가, 직업정보 수집, 목표선정, 계획수립, 문제해결 등이 구성되었다. 수집된 설문지를 기반으로,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본 연구를 위해 사용된 통계방법은 빈도분석, 일원변량분석, 중다회귀분석, 상관관계분석이며,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대학 미식축구 선수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학년, 전공, 운동 경력, 운동 목적, 가정수입)은 자기효능감에 전반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 학년, 부모소득, 미식축구 경력에 따라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자기조절감, 자신감, 과업도전감 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학년, 부모소득, 미식축구 경력이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이 높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둘째, 대학 미식축구 선수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학년, 전공, 운동 경력, 운동 목적, 가정수입)은 진로결정요인에 전반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라 진로결정요인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비교적 학년이 높을수록 진로결정요인이 높게 나타났고, 운동 목적에 따라 진로결정요인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진로결정요인의 하위요인별 문제해결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우수한 선수나 기타 목적인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식축구 경력에 따라 진로결정요인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경력이 오래된 경우 목표설정, 계획수립, 문제해결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대학 미식축구 선수들의 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요인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별 자기조절감, 자신감, 과업도전감은 진로결정요인의 하위요인별 직업정보수집, 목표설정, 계획수립, 문제해결, 자기평가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대학 미식축구선수들에게 있어 자기효능감은 향후 진로를 결정함에 있어 영향력 있는 변인임을 알 수 있다.
more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college football players to make a career decision and to map out their career path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making. Moreover, this is to promote understanding of college football players with low self-efficacy. Therefore, the focus is on enlarging the base of American football and providing concrete data for institutional support. The research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257 college football players attending four-year universitie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enrolled in the Korea American Football Association. Sample extraction was conducted as a convenience sampling, and a total of 252 data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except for five parts of the collected data, which were determined to be missing or insincerely responding. For the measure of self-efficacy, a revised and adapted questionnaire by Hong Hyun-kyung (2011), Lee Jung-ae (2009) was used in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is based on Bandura's theory of self-efficacy. And for the study of career decision factor, a translated version (by Lee Eun-jin, 2001) of short form scale from 25 questionnaires of CDMSE-SF(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 Tayor & Betz, 1983), which is based on the course maturity model of Crites (1978). The sub-scales included self-assessment, job information gathering, selection of the target, planning, and solution. Based on the collected questionnaire,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21.0 program.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for this study were analysis of frequency, one-way analysis of variance, multiple regression, correlation analysis, and Scheffe post verification.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rom the research conducted in the above manner. First,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grade, major, athletic career, athletic purpose, family income) of college football players were shown to affect the overall of self-efficacy. Amo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 regulation, confidence, challenging task, which are sub-factors of self-efficacy, depending on grade, parental income, and football experience. Second,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grade, major, athletic career, athletic purpose, family income) of college football players were shown to affect career decision making across-the-board. An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career decision making factor according to grades showed that the higher the grade, the higher the factor of career determination. An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career decision making factors based on the purpose of exercis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lving problems by sub-factor of career decision making, and it was found to be relatively high for outstanding athletes and other purposes. An analysis of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in career decision making factors depending on football experience showed relatively high levels of goal setting, planning and problem-solving in the event of a longer career. Third,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making of college football players showed that sub-regulation, confidence, challenging task by sub-factor of self-efficacy are associated with career information gathering, setting goals, planning, problem-solving and self-evaluation by sub-factor of career decision making.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above study indicate that self-efficacy is an influential variable in deciding future direction for college football player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