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결정수준간의 관계 : 진로스트레스의 매개효과와 청소년-부모 진로일치의 조절효과
Study on Relation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Lack of Patience Toward Uncertainty and Career Decision: Mediating Effect of Career Stress, Moderating Effect of Youth-Parents’ Agreement on Career
- 주제(키워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 진로스트레스 , 청소년-부모 진로일치 , 진로결정수준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연규진
- 발행년도 2018
- 학위수여년월 2018.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63314
- UCI I804:11029-000000063314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진로스트레스, 청소년-부모 진로일치, 진로결정수준의 관계를 살펴보고,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결정수준 간의 관계에서 진로스트레스의 매개효과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수준과 진로결정수준 사이에서 청소년-부모 진로일치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인문계고등학생 323명(남학생 163명, 여학생 160명)을 대상으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진로결정수준, 진로스트레스, 청소년-부모 진로일치척도를 사용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수집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과 Hayes(2013)가 제시한 PROCESS Macro Model을 통해 상관분석, 회귀분석 및 매개효과,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진로결정수준, 진로스트레스, 청소년-부모 진로일치의 상관분석 결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스트레스와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진로결정수준과의 관계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청소년-부모 진로일치와 진로스트레스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진로결정수준과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결정수준 간의 관계에서 진로스트레스는 완전매개효과를 보였다. 즉,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이 부족할수록 진로스트레스가 높아지고, 결과적으로 고등학생들의 진로결정수준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결정수준 간의 관계에서 청소년-부모의 진로일치가 조절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즉, 청소년-부모 진로일치가 높을수록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이 부족하여 진로결정수준을 낮추는 부정적 영향이 줄어들었다. 본 연구에서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결정수준 간의 관계에서 진로스트레스의 매개효과와 청소년-부모 진로일치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고등학생들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줄이기 위해서 학교 교사나 상담자는 학생들의 진로스트레스를 줄이고, 청소년-부모의 일치를 높일 수 있도록 조력할 필요가 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제한점과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more초록/요약
This study has identified high school student’s lack of patience toward uncertainty, career, stress, youth-parents’ agreement on career, and career decision leve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stress between the lack of patience toward uncertainty and career decision level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youth-parents’ agreement on career between the level of patience toward uncertainty and career decision level. For the research, this study conducted self-report survey on 323 students in academic high school in Gyeonggi-do region. The self-report survey was about lack of patience toward uncertainty, career decision level, career stress, and youth-parents’ agreement on career.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o verify the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mediating effect, and moderating effect through SPSS 19.0 and PROCESS Macro Model suggested by Hayes(2013). The research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conducted correlation analysis on lack of patience toward uncertainty, career decision level, career stress, and youth-parent’s agreement on career. The analysis showed that lack of patience toward uncertainty and career stress had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On the other hand, lack of patience and career decision level had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Furthermore, youth-parents’ agreement had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ith career stress and had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career decision level. Secondly, in analysis on relation between lack of patience toward uncertainty and career decision level, career stress had full mediating effect. That is, students have higher career stress when they are more impatient to uncertainty. The analysis result demonstrated that impatience toward career had negative influence on high school student’s career decision level. Third, in analysis on relation between lack of patience toward uncertainty and career decision level, youth-parents’ agreement on career ha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That is, when youth-parents had higher agreement on career, students had higher patience in uncertainty and had higher career decision level. This study identified mediating effect of career stress and moderating effect of youth-parents’ agreement on care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ack of patience toward uncertainty and career decision level. The study result indicates that school teacher and school counselor need to help in reducing student’s career stress and increasing youth-parents’ agreement on career to prevent the negative influence of high school student’s impatience toward uncertainty on career decision level. This study also discussed about limits and proposal based on the research result.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