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황 맥락이 반영된 작문 수행 활동 분석 연구 : 고등학교 <화법과 작문> 교과서 학습 활동을 중심으로
A study on analyzing writing performance activity reflecting situation context:Focusing on learning activity of high school <Speech and Writing> textbook
- 주제(키워드) 국어 교육 , 작문 교육 , 상황 맥락 , 화법과 작문 교과서 분석 , 학습 활동 , 비중 분석 , 유형 분석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주세형
- 발행년도 2018
- 학위수여년월 2018.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국어교육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63311
- UCI I804:11029-000000063311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는 2011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따라 편찬된 <화법과 작문> 교과서의 작문 단원에서 상황 맥락이 반영된 학습 활동의 비중과 유형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 활동을 재구성하여 교과서 학습 활동의 개선 방안에 관해 제언한 연구이다. Ⅱ장에서는 국어과 교육과정에 반영된 상황 맥락에 대해 검토하고, 작문에서 상황 맥락 교육의 필요성과 상황 맥락의 개념 및 구성 요소에 대해 살핌으로써 상황 맥락의 위상을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학습자가 작문 과정에서 상황 맥락을 인식하고 지속해서 고려해야 한다는 것과 상황 맥락이 실제 중심으로 교육되어야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Ⅲ장에서는 <화법과 작문> 교과서 작문 단원에서 상황 맥락이 반영된 학습 활동의 비중과 유형을 분석하였다. 비중 분석에서는 상황 맥락이 반영된 학습 활동의 비중과 상황 맥락 각 요인의 비중을 분석하였다. 유형 분석에서는 작문 과정과의 결합을 통한 유형 분석과 활동에 제시된 형태에 근거한 유형 분석을 진행하였다. 비중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상황 맥락이 반영된 학습 활동의 비중은 모든 단원에서 낮은 비중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상황 맥락 각 요인의 비중은 대부분의 단원에서 상황 맥락 요인이 균형 있게 반영되지 않았다. 유형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작문 과정과의 결합을 통한 유형 분석에서는 상황 맥락이 특정한 작문 과정에 편중된 채 반영되었다는 점과 특히 점검 유형과 수정 유형의 활동이 부족하다는 점을 파악하였다. 다음으로 활동에 제시된 형태에 근거한 유형 분석에서는 독자가 명확하게 제시되지 않은 선정 유형의 활동이 많다는 점과 학습 활동에서 독자와 글의 유형과의 연관성은 비교적 잘 드러나지만, 독자와 주제, 독자와 목적과의 연관성은 잘 드러나지 않는다는 점을 파악하였다. Ⅲ장에서의 비중과 유형 분석을 통해 교과서 학습 활동이 개선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Ⅳ장에서는 학습 활동을 재구성함으로써 교과서 학습 활동의 개선 방안에 대해 제언하고자 하였다. 먼저 상황 맥락이 충분하게 반영될 수 있도록 상황 맥락을 더 반영하는 방향으로 교과서 학습 활동을 재구성하고, 상황 맥락이 균형 있게 반영될 수 있도록 단원별로 부족한 상황 맥락 요인을 학습 활동에 반영하는 방향으로 학습 활동을 재구성하였다. 다음으로 작문 과정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수 있도록 학습 활동에서 특히 부족하게 나타난 점검 유형과 수정 유형의 활동을 보완하여 학습 활동을 재구성하고, 상황 맥락이 명확하게 제시될 수 있도록 선정 유형의 활동을 지정·선택 유형의 활동으로 개선하여 학습 활동을 재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독자와 각 상황 맥락 요인이 유기적으로 연관될 수 있도록 학습 활동이 명확하게 제시되는 방향으로 학습 활동을 수정하고, 상황 맥락 요인 간 연관성이 드러나도록 학습 활동을 재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일상에서 접하는 다양한 작문 상황에서 상황 맥락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학습자에게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상황 맥락이 작문 교육에서 중요한 연구 대상임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작문 교육에서 상황 맥락에 대한 연구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작문 교육에서 상황 맥락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서 의미를 가진다. 또한, 본 연구는 교과서에서 상황 맥락이 반영된 학습 활동의 비중과 유형을 확인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상황 맥락이 교과서에 바람직한 방향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교과서 학습 활동을 구성하는 데 참고 자료로서 그 의의가 있다.
more초록/요약
This study analyzes the importance and type of learning activities reflecting situation context in writing section of "Speech and Writing" textbook complied according to the 2011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It also reorganizes learning activitie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nd suggests ways to improve textbook learning activities. In chapter 2, the situation context reflected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was reviewed, and the status of situation context was presented by examining the necessity of education of situation context in writing and the concept & component of situation context. It is confirmed that learners should be aware of the situation context in writing process and should continuously consider it, and that the situation context should be taught practically. In chapter 3, the importance and type of learning activities reflecting the situation context were analyzed in the writing section of "Speech and Writing" textbook. As for the importance analysis, the importance of learning activities reflecting the situation context and the importance of each factor of situation context were analyzed. As for type analysis, the type analysis through combination with writing process and the type analysis based on the form presented in activity were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importance analysis, the importance of learning activities reflecting the situation context was low in all units. And, as for the importance of each factor in the situation context, the factors of situation context were not reflected harmoniously in most units. The result of the type analysis showed that the situation context was focused and reflected in the specific writing process with the type analysis through the combination with the writing process. In particular, it was observed that the activities of check type and modification type were insufficient. From the type analysis based on the form presented in the activity,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re were many selected types of activities that the reader was not clearly presented, a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ader and the type of writing in the learning activity was relatively clear bu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ader and the theme or the reader and the purpose was not evident. In chapter 3, it was confirmed that textbook learning activities need to be improved through importance and type analysis. In chapter 4, the author tried to suggest ways to improve textbook learning activities by restructuring learning activities. Firstly, the textbook learning activities were restructured in a way that reflects the situation context sufficiently, and they were also restructured in such a way that the situation context was reflected sufficiently in the learning activities so that the situation context was reflected harmoniously. Secondly, the learning activities were restructured by supplementing the activities of check type and modification type which were particularly lacking in learning activities so that the writing process can be considered comprehensively, and they were also restructured by specifying activities of the selection type and improving the activities of it so that the situation context can be clearly presented. Finally, the learning activities were modified in such a way that they were clearly presented so that the reader and each situation context factor could be organically related, and the learning activities were restructured to reveal the correlation among situation context factors. This paper attempts to help learners utilize situation context in a variety of writing contexts that can be encountered in everyday life. Although situation context is an important study subject in writing education, so far the studies on the situation context in writing education have not been done sufficiently. This study is meaningful as part of the study on situation context in writing education. In addition, this study can be used as a material to identify the type and importance of learning activities reflecting situation context in textbook. It is also meaningful as a reference to organize textbook learning activities so that situation context can be reflected in textbook in a desirable directio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