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Morphological Decomposition and Transposition Effects in Korean Word Recognition

한글 단어재인에서의 형태소 분리 및 교환 효과

초록/요약

The present study focused specifically on how suffix and stem morphemes are coded for position in the word recognition system. Previous studies indicate that suffix representations are position invariant, whereas stem morphemes are flexibly coded in a given word string. To examine whether this can also be applied in Korean orthographic systems, two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Lexical decision task strategies were used in Experiment 1 to elicit morpheme interference effect on nonword rejection times. Results revealed significant effects in both morphologically complex nonwords and transposed nonwords, indicating that Korean suffixes in morphologically complex words are position independent. Experiment 2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stem morphemes are sensitive to morpheme positional distribution. Masked priming strategies were used to exclude semantic interpretation and observe facilitation effects. Compound words were selected as targets, while the conditions comprised of identical, unrelated, and transposed pseudocompound stimuli. As expected, transposed morpheme conditions facilitated the identification of target words, showing that stem representations are flexible in position coding.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English studies cannot be generalized to other orthographies in morphemic word processing, to some extent.

more

초록/요약

본 연구를 통해 접미사와 어근 형태소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위치가 정해지며 단어 재인 기제에 작용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영어를 사용한 기존 연구에서 접미사는 위치 특정적이고 어근 형태소는 위치 독립적이라는 사실이 실험을 통해 입증되었다. 이러한 양상이 한글 표기 체계에도 동일하게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두 개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1에서는 접미사 형태소를 대상으로 어휘 판단 과제를 통해 비단어 억제효과가 발생하는 지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접미사가 포함되어 정위치에 있는 비단어와 (예: 여름장이) 접미사의 위치가 바뀐 비단어 (예: 장이여름) 모두에서 억제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한글 접미사가 처리단위로 분리됨을 의미하며 위치 독립적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실험2에서는 점화과제를 사용하여 어근 형태소가 위치 독립적인 특성을 갖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점화 조건으로는 각각 일치하는 조건 (예: 죽림-죽림), 관련 없는 조건 (예: 벅숨-죽림), 그리고 합성어 교환 조건 (예: 림죽-죽림)을 선별하였다. 영어에서와 같이 합성어 교환 조건 자극들이 목표 자극을 촉진하였고, 이는 어근 형태소들이 위치 독립적이라는 사실을 재확인시켜 주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한글의 형태소 위치화는 형태소의 종류에 따라 영어의 수행과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한글 단일 형태소 명사단어를 사용하여 음절교환 조건에서의 교환효과가 나타나는지에 대한 보다 광범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