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구선수의 심판 인식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Referee Recognition of Soccer Players
- 주제(키워드) 축구 , 심판 , 축구선수 , 축구심판 , 심판 인식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김수미
- 발행년도 2018
- 학위수여년월 2018.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체육교육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63302
- UCI I804:11029-000000063302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축구 경기에 참가하는 선수들의 심판에 대한 신뢰, 인식도, 판정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심판의 불공정한 판정을 줄이고 심판의 자질을 향상시킴으로서 심판과 선수간의 신뢰도를 높이고 개선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8년 대한축구협회 등록되어있는 초등, 중등, 고등, 대학, 프로선수로 총 640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불성신한 답변, 무응답, 이중기입 답변 42부를 제외한 총 598부의 자료를 본 연구의 표본으로 사용하였다. 자료의 통계분석 방법은 SPSS 23.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 문제에 따라 신뢰도 검사, 탐색적 요인분석,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 사후검증(Duncan test), t 검정을 실시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게 되었다. 첫째, 축구선수 그룹에 따른 심판 인식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정확성 요인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활동성 요인, 협력성 요인, 태도 요인, 판정 요인 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축구선수 포지션에 따른 심판 인식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정확성 요인, 활동성 요인, 협력성 요인, 판정 요인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태도 요인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승·패에 따른 심판 인식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정확성 요인, 활동성 요인, 협력성 요인, 태도 요인, 판정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살펴본 축구선수 심판 인식에 관한 연구 결과 심판인식은 그룹, 포지션, 승·패에 따라 심판에 대한 인식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심판과 선수간의 신뢰도를 높이고, 심판의 자질을 향상시키는데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more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credibility of referee and athlete by improving the qualification of referee by reducing unfair judgment of referee by analyzing problems of trust.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total of 640 students were of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 university, and professional athletes registered with the Korea Football Association in 2018 were selected. A total of 598, excluding 42 surverys of insincere answers and blank answers were used for this Research. Credibility test,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ne-way ANOVA, Duncan test and t-test were applied for the statistical methods of data by using SPSS 23.0 statistical program based on the problem of the research. As a result of the above research,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ccuracy factor of the judging according to the soccer player group,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ctivity factor, cooperation factor, attitude factor and judgment factor.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ccuracy, activity, cooperative factor, and judgment factor between the judges' percep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soccer players.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ccuracy factor, activity factor, cooperation factor, attitude factor, and judgment factor in analyzing the difference of judging percep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game. As a result of the study on the recognition of soccer players towards referees, it can be seen that the referee perception is different according to group, position and the result of the gam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enhance the credibility of referee and athlete and to enhance referee 's qualitie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