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얼리티 프로그램이 재현하는 비혼 가구의 정체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미운 우리 새끼>(SBS)를 중심으로
- Subject 재현 , 리얼리티 프로그램 , 비혼 , 타자화 , 모성 , 가족주의
- Publisher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 Adviser 황인성
- Issued 2018
- Awarded 2018. 8
- Thesis degree 석사
- Major 언론대학원 방송
- URI entity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63245
- UCI I804:11029-000000063245
- Language 한국어
- Rights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Abstract
본 연구는 미디어의 재현 활동이 오늘날 새로운 사회적 소수집단으로 등장한 비혼 1인 가구에 대한 우리의 인식에 중대한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특히, 편견과 고정관념에 찬 대중적 재현으로 인해 한 사회의 소수집단이 도태되거나 소외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에 비혼 연예인을 전면에 등장시킨 리얼리티 프로그램 <미운 우리 새끼>(SBS)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고, 이에 대한 내용과 형식 차원의 텍스트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미디어에서 재현하는 비혼 1인 가구의 정체성과 그 속에 내포된 사회문화적 함의는 무엇인지 비판적으로 탐색하였다. 그 결과 <미운 우리 새끼>(SBS)는 혼종적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장르적 관습을 취하면서 비혼 1인 가구의 정체성을 기행과 일탈을 일삼은 낭만적 문제아와 모성의 돌봄 노동이 필요한 유아적 존재로 타자화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전통적 가족 규범인 모성과 가족주의를 답습하면서 비혼의 사회적 문제를 개인적 차원으로 사사화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새로운 가족 형태에 대한 포용적 가족관과 사회적 수용성을 견인하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미운 우리 새끼>(SBS)는 비혼 1인 가구에 대한 왜곡된 인식 및 암묵적인 배제를 허용하고, 이들의 지속 가능한 사회권 확보와 돌봄의 사회 책임 강화를 주지시키는 데는 한계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moreAbstract
This study started from the critical perspective that representation of media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our perception of the newly emerging type of household in accordance with changing marriage values. It was particularly noted in this study that a minority group of people could be eliminated or alienated in society due to popular representation filled with prejudice and stereotypes. In this regard, this study selected My Naughty Son(SBS) as a case study of object and attempted to examined it in order to study the identity of single households and the social-cultural implications embedded in it. For this, this study analyzed the representation strategies that constitute the identity of single households in the aspects of content and the format of this program.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My Naughty Son(SBS) took the genre conventions of a hybrid reality show and it made the identity of single households as a romantic and childish others that need to be looked after with motherhood. In addition, it was investigated that this television program led to the result that the social problem of unmarried people became a personal level while failing to raise inclusive family values and social acceptability, following the traditional family norms, adoration of motherhood and familism. Therefore, My Naughty Son(SBS) allows distorted perception and tacit exclusion of unmarried single-person households, limiting their ability to secure sustainable social rights and take more social responsibility for care.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