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단어 재인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 음절 형태를 중심으로
Variables affecting Korean word recognition: focusing on syllable shape
- 주제(키워드) 단어 재인 , 음절 형태 , 연속성 원리 , 어휘 판단 과제 , 차폐 점화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이창환
- 발행년도 2018
- 학위수여년월 2018.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심리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63215
- UCI I804:11029-000000063215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는 한글 단어의 처리 단위에 대해 알아보고, 음절 형태가 한글 단어 재인에 미치는 영향을 입증하였다. 연구 1에서는 60명의 학부생들을 대상으로 자극을 단독적으로 제시하여 음절 유형(읽기 방향이 연속성 원리에 부합하는 “가”형 vs. 부합하지 않는 “고”형) 및 제시 방향(가로 vs. 세로)에 따른 반응 시간을 측정하는 어휘 판단 과제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제시 방향이 가로일 때와 세로일 때 모두 “가”형이 “고”형에 비해 유의미하게 수행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게스탈트의 연속성 원리가 음절 수준에서 작동하여 단어 수행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지지하는 결과이다. 음절 유형과 제시 방향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 1에 이어서 어휘집 접근 이전에도 음절 형태가 단어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할 수 있는 추가적인 실험이 필요했다. 따라서 연구 2에서는 45명의 학부생들을 대상으로 어휘집 접근 이전의 과정을 검증할 수 있는 차폐 점화 과제를 사용하여 음절 유형(“가”형 vs. “고”형) 및 점화 자극과 목표 자극 간의 시각적 관계(동일 vs. 유사 vs. 상이)에 따른 반응 시간을 측정하는 어휘 판단 과제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점화 자극과 목표 자극 간의 형태가 유사한 조건이 상이한 조건에 비해 유의미하게 수행이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2에서도 음절 유형과 점화 자극과 목표 자극 간의 시각적 관계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기초하여, 한글 단어의 처리 단위가 음절이라는 것을 확인하고, 음절 형태가 한글 단어 재인에 미치는 영향을 논의하고, 후속 연구 방향을 제안하였다.
more초록/요약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ocessing unit of Korean word and the effect of syllable shape on Korean word recognition. Experiment 1 presented a single word, and tested reaction time of syllable type(“가”ka in which its reading direction meets the Gestalt’s principle of continuity vs. “고”ko in which its reading direction does not meet the Gestalt’s principle of continuity) and presenting direction(horizontal vs. vertical) by performing lexical decision task on 60 participants. The result showed that “가”type displayed significant performance improvement compared to “고”type when the direction is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This result indicates that Gestalt’s principle of continuity operates in syllable level, and this affects word recognition. In addition,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syllable type and the direction. However, we needed to conduct an additional experiment to investigate whether syllable shape affects word recognition prior to the lexical access as well. Therefore Experiment 2 tested reaction time of syllable type(“가” vs. “고”) and the visual relationship between prime and target(Identical vs. Similar vs. Different) by performing masked priming task which verifies the process before lexical access on 45 participants. The result showed that the reaction of the condition with same syllable types between prime and target is significantly inhibited compared to the condition with different syllable types between prime and target. Also,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syllable type and the visual relationship between prime and target, which was consistent to the result of Experiment 1. This study found the processing unit of Korean word is syllable. Effects of syllable shape on Korean word recognition were discussed, and future directions for related studies were suggeste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