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한국어 양태 표현 연구 : 추측과 의도의 의미를 중심으로

A Study on Korean Modal Expressions: with a focus on speculation and intent

초록/요약

이 연구는 추측과 의도의 의미를 갖는 한국어 양태 표현의 문법적 특징과 의미 기능을 살펴봄으로써, 유사 의미를 갖는 양태 표현의 의미 변별에 양태성이 핵심적 역할을 함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유사 의미 양태 표현의 의미 변별 작업은 특정 담화 맥락에서 양태 표현이 선택되고 사용되는 원리를 규명하고, 유사 의미를 갖는 양태 표현들 간의 의미적 상관성을 기술하며, 더 나아가 거시적 관점에서 양태 의미 체계가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지 살펴볼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 대상으로는 선어말어미 ‘-겠-’에서부터 관형사형 어미 ‘-을’이 내포된 ‘-을 것’ 구성과 ‘-을 터’ 구성까지 다루었고, 연구 방법으로는 개별 양태 표현이 갖는 문법 제약과 출현 양상에 따라 양태성을 확인하는 귀납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2장에서 양태에 관한 기본적인 논의를 다루었다. 양태는 명제 내용과 현실이 맺는 유사성에 초점을 둔 명제의 실재성 또는 사태 실현성이 문법적으로 실현된 것으로 정의하였다. 추측과 의도의 의미를 갖는 한국어 양태 표현은 명제 내용에 관한 화자의 실재성 판단이 무엇에 바탕을 두느냐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나누었다. 하나는 화자의 앎, 판단 근거에 따른 실재성 판단으로 선어말어미 ‘-겠-’에 의해 실현되고, 다른 하나는 판단 근거 없이 화자의 믿음에 따른 실재성 판단으로 관형사형 어미 ‘-을’이 내포된 ‘-을 것’ 구성과 ‘-을 터’ 구성에 의해 실현된다. 주관성이란 화자가 발화에서 자신의 관점이나 시각을 문법형식을 통해 유표화시킨 것으로, 개별 양태 표현은 화자의 관여도에 따른 주관성의 발현 정도가 다르게 나타난다. 수행성이란 화자가 명제 내용의 행위 실현 주체가 되어 명제 내용에 주체적인 태도를 취하는 것으로, 화자의 진술 태도와 관련된다. 3장에서 선어말어미 ‘-겠-’의 의미를 기술하였다. ‘-겠-’은 명제 내용에 관해 판단 근거를 바탕으로 한 화자 판단으로 추측의 의미로 해석되는데, 화자가 판단 근거에 얼마나 확신을 강하게 갖는지에 따라 추측의 의미 내에서도 추론, 짐작, 가능 등의 하위 영역으로 나뉜다. ‘-겠-’의 의도의 의미는 1인칭 명제 내 주체, 동작성 용언이 통합되며 ‘-었-’의 선행 통합이 제약되는 문법적 특징에, 명제 내 주체와 양태 의미 담지자(평서문에서 화자, 의문문에서 청자)와 일치되어 수행성을 나타낼 때 생성된다. 4장에서 양태 의미가 반영되어 있는 관형사형 어미 ‘-을’이 내포된 ‘-을 것’ 구성의 의미를 기술하였다. ‘-을 것’ 구성은 후행 통합되는 문법요소에 따라 (1) ‘-을 것’에 계사 ‘이-’와 통합된 ‘-을 것이-’와 ‘것’과 계사가 응축된 단순 융합형 ‘-을 게-’, (2) 더 이상 활용되지 않는 진전된 융합형 ‘-을게’, (3) 대격 조사가 통합된 ‘-을 것을’과 ‘-을걸’로 나뉜다. ‘-을 것이-’에서 ‘-을 게-’로, ‘-을 게-’에서 ‘-을게’로, ‘-을 것을’에서 ‘-을걸’로 갈수록 어휘적 영향이 축소되고 문법적 기능이 강화되어 문법 제약이 더 늘어나면서 문법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미래성을 띠는 ‘-을 것이-’는 형태적 결합도가 낮으므로 화자의 관여가 매우 낮다고 판단하여 준(準) 양태 표현으로 간주하는 반면, ‘-을게’는 ‘-겠-’과 마찬가지로, 수행성을 획득하여 의도의 의미로 해석된다. ‘-을걸’은 명시적이든 함축적이든 조건절을 전제하고 있으므로, 그 의미는 포괄적인 의미에서 인식양태적 속성로 간주된다. ‘-을걸’의 선행절에 복원된 조건절의 속성에 따라 ‘-을걸’의 문법적 특징과 양태적 속성이 다르게 나타난다. 5장에서 양태 의미가 반영된 관형사형 어미 ‘-을’이 내포된 ‘-을 터-’ 구성의 양태성을 기술하였다. ‘-을 테-’는 연결어미가 후행 통합되느냐, 의문문으로 전환이 허용되느냐에 따라 ‘-을 게-’와 차이를 보이는데, ‘-을 테-’는 ‘-을 게-’보다 주관성이 약하다. 문법화의 결과로, 연결어미와 통합된 ‘-을 테-’가 명령문과 청유문의 후행절과 호응될 때 수행성을 획득하며 ‘-겠-’과 유사한 양태성을 보인다. 6장에서는 결론으로 추측과 의도의 의미를 나타내는 양태 표현의 주관성과 수행성에 따른 의미 변별에 대한 논의를 요약하고 앞으로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more

초록/요약

This thesis examines the grammatical features and meanings of Korean modal expressions, which carry the meaning of speculation and intent, and clarifies that modality plays a key role in distinguishing the meaning of similar modal expressions. This paper studies the principle of why specific modal expressions are chosen and used in specific discourse contexts, describes the semantic correlation between similar modal expressions, and suggests a macroscopic viewpoint from which to understand the systematics of modal expressions. Objects of study include the prefinal ending "-gess-" and the bound construction with adnominal suffix "-eul", such as "-eul geos" and "-eul teo" constructions. For this thesis an inductive study method was adopted, which analyzes modality by considering the grammatical restrictions and aspects of each modal expression. In chapter 2 I discuss the basic notions of modality. Modality is defined as a grammatical realization of factuality or actuality focusing on the similarities between proposition and reality. Korean modal expressions depend on the speaker’s factual judgment regarding the proposition, and this factual judgment is based on two things. One is the speaker's knowledge, with evidence of judgment, exemplified by the prefinal ending "-gess-", and the other is the speaker's belief, without evidence of judgment, exemplified by "-eul geos" and "-eul teo" constructions with the adnominal suffix "-eul". Subjectivity, one of the modal properties, is marked by the speaker's point of view or perspectives in their utterance through grammatical form, and the degree of subjectivity depending on the speaker's involvement differs in each modal expression. Performativity, another modal property, is related to the subjective attitude taken by the speaker which becomes an agent of proposition. In chapter 3 I review the meaning of the prefinal ending "-gess-", which is interpreted as the speaker's judgment based on grounds for the proposition. Depending on how confident the speaker is about the evidence provided for judgment, even the meaning of "speculation" can be divided into sub-categories such as inference, assumption, and possibility. The meaning of intent in "-gess-" is produced with grammatical features such as the first person point of view, action verbs, the restriction of inserting "-eoss-" before "-gess-", and performativity when the agent of proposition is identical to the modal meaning possessor (speaker when a statement, listener when interrogative). In chapter 4 I review the meaning of "-eul geos" bound constructions with the adnominal suffix "-eul". "-eul geos" constructions a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depending on the following grammatical construction elements; (1) "-eul geosi-" with copula "i-" and simple fusion "-eul ge-", (2) progressed fusion "-eulge-" without grammatical conjugation, (3) "-eul geoseul" and "-eulgeol" with an object marker. It can be confirmed that lexical influence is reduced and grammatical functions are strengthened when "-eul geosi-" changes to "-eul ge-", "-eul ge-" to "-eulge", and "-eul geoseul" to "-eulgeol". "-eul geosi-", which carries the meaning of futurity, is regarded as a semi-modal expression which lacks speaker involvement by loose constructions because "-eoss-" has no restrictions and can be replaced by other nouns. On the other hand, "-eulge" is interpreted as intent with performativity similar to "-gess-". "-eulgeol" is found to be epistemic modality because the meaning of "-eulgeol" is based on either explicit or implicit conditionals. Grammatical features and modal properties of "-eulgeol" differ depending on the properties of the restored conditionals in the antecedent clause. In chapter 5 I review the meaning of bound construction "-eul teo" from the adnominal suffix "-eul". Either "-eul te-" or "-eul ge-" is used depending on whether what follows is a connective ending or if it is interrogative. In addition "-eul te-" has lower subjectivity than "-eul ge-". Also, as a result of grammaticalization, "-eul te-" with a connective ending is interpreted as intent in the clause which precedes imperatives or suggestions, and acquires performativity similar to "-gess-". In chapter 6 I summarize all discussions regarding the differences in meaning as depending on subjectivity and performativity of modal expressions that carry the meanings of "speculation" and "intent", and suggest future areas of stud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