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사내 커뮤니케이션의 가치관 공유, 명확한 업무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 캠페인 차원과 사내 매체 이용의 정보추구적, 대인적, 주체적, 오락적 동기의 상관관계 연구 : 사내방송, 인트라넷BBS를 중심으로

A study of correlation between the shared values, clarity in work communication and communication campaign dimension in the integrated employee communication, and the motivations of the internal media usage: information pursuit, interpersonal, autonomous, and entertainment motives

초록/요약

급변하는 경영환경 속에서 기업들은 사내 커뮤니케이션 활성화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경영환경 속에서 사내 커뮤니케이션의 개념을 경영전략 차원으로 이해하고 사내 매체를 통하여 사내 커뮤니케이션 수준을 제고하는 성과 창출을 위한 실증적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사내 커뮤니케이션의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고 K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분석하여 한국형 사내 커뮤니케이션 진단모델의 가치관 공유, 명확한 업무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 캠페인 차원과 사내 매체의 네 가지 이용 동기인 정보추구적 동기, 대인적 동기, 주체적 동기, 오락적 동기와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였다. 또, 사내 매체별 선호 여부에 따라 이용동기는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검증하였고 이용 동기에 따른 사내 매체의 이용이 커뮤니케이션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사내 커뮤니케이션의 가치관 공유, 명확한 업무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 캠페인은 사내매체 이용 동기의 정보추구적 동기, 대인적 동기, 주체적 동기와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오락적 동기와는 상관관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사내 매체별 특성에 따라 이용동기가 상이함을 발견하였는데 K기업의 경우 사내방송의 선호군과 비선호군은 정보추구적 동기, 대인적 동기, 주체적 동기에서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으며 선호군이 비선호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다. 또, 사내매체 이용동기가 높은 사내방송 선호군은 비선호군에 비해 사내 커뮤니케이션의 가치관 공유, 명확한 업무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 캠페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선호군이 비선호군에 비해 그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인트라넷의 경우 오락적 이용동기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으나 인트라넷 선호군과 비선호군은 사내 커뮤니케이션 수준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내 커뮤니케이션과 사내 매체 이용동기는 정(+)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이용동기가 높은 사내 매체를 전략적으로 이용하여 사내 커뮤니케이션 캠페인을 전개하는 것이 사내 커뮤니케이션 활성화에 있어서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실증적 결론을 도출하였다.

more

초록/요약

In a rapidly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companies are making great efforts to activate internal communication. This study is an empirical study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internal communication in terms of management strategy and to enhance the level of internal communication through internal media. In this study,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internal communication was examined and the result of a survey for K Company was analyzed to investigate interrelation between Korean internal communication diagnostic models ,i.e, shared values, clarity in work communication, communication campaign dimensions, and four usage motives of internal communication: information pursuit, interpersonal, autonomous and entertainment motivation. In addition, the difference in usage motives according to the preference of in-house media was verified. And the effects of the usage of in-house media according to the usage motives on communication was examin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hared values, clarity in work communication and communication campaign in the internal communication, and the information pursuit, interpersonal and autonomous motives of the in-house media usage. On the other hand, the correlation with entertainment motive was relatively low. And it was found that the usage motives differ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internal media. In the case of K Company,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information pursuit motivation, interpersonal motivation and autonomous motivation between the preference group and the non-preference group for in-house broadcasting, and the preference group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e non-preference group. In addition, in-house broadcasting preference group with higher motivation of in-house media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hared values, clarity in work communication and communication campaign, and the dimension of the preference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non-preference group. In the case of intranet, only the entertainment motiv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ntranet preference group and non-preference group in the level of internal communication.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proved that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usage motives of internal communication and in-house media. And an empirical conclusion that developing internal communication campaigns by strategically using in-house media with higher use motive will help activate internal communication has been come up with.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