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정서전염과 공감의 관계 : 얼굴표정 모방 처치의 효과 검증을 포함하여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ontagion and Empathy: with Facial Expression Mimicry

초록/요약

대인 간 정서의 전이 현상을 설명하는 심리적 개념인 정서전염(Emotional Contagion)은 공감 과정의 과학적 이해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이는 모방(mimicry)을 접점으로 설명된다. 본 연구에서는 정서전염과 공감의 관계에 대하여 설문 및 실험 측정법을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얼굴표정 모방 처치가 정서전염 및 공감의 증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107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 결과, 정서전염 민감성과 공감 능력은 높은 상관을 보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사회적 바람직성을 통제한 후에도 유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공감능력이 중간 수준에 해당하는 45명(실험집단 22명, 통제집단 23명)을 대상으로 실험 집단을 구성하였다. 실험에서는 정서가 드러나는 4개의 인터뷰 동영상을 시청한 뒤, 실험 집단은 인터뷰 주인공의 얼굴표정을 따라하는 과제가 주어졌으며, 통제 집단은 영상과 관련한 문제를 풀도록 하였다. 이후 인터뷰 대상에 대한 공감의 정도 및 정서의 변화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정서 유발 자극으로 선택된 2개의 영상 시행에 대하여 분석이 이루어졌으며, 분석 결과 실험적 측정에서는 정서전염과 공감 사이의 일관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정서의 변화 및 공감 정도에서 얼굴표정 모방 처치로 인한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모호한 정서전염과 공감의 연구의 흐름을 정리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다양한 측정적 접근을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성인 집단에서 얼굴표정 모방 처치의 효과성을 검증해 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more

초록/요약

Emotional contagion, which is a psychological concept that explains the transition phenomenon of interpersonal emotions,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scientific understanding of empathy, and it is explained by mimicry. However, there has been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confusion for a long tim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mpathy and emotional contagion and effect of facial expression mimicry treatment on enhancement of emotional contagion and/or empathy. In order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measurement method, both self-reported questionnaire and experimental measurement were used in this study. A total of 107 adults over 18 years of age participated in the online survey. Results indicated that sensitivity of emotional contagion has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levels of empathy. Experiment was designed based on facial-feedback hypothesis, which is considered the major mechanism of emotional contagion, and investigated whether facial expression mimicry treatment contribute to enhancement of emotional contagion and/or empathy. A total of 45 participants with the average level of empathic ability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n=22) and control group(n=23). In the experiment, participants watched 4 video clips of interview. After watching each interview, experimental group mimicked the interviewer's facial expression, and control group solved the question of interview. Then participants responded how they empathize with the subject and their current mood. In the correlation analysis, there was not a consistent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contagion and emotional empathy. Also, there were no differences on the level of emotional contagion and empathy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e implications of the present study are to clarify the ambiguous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ontagion and empathy via both self-reported questionnaires and experiments and investigate the effect of facial expression mimicry treatment in adult group.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for further study are discusse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