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육수업에서 수업일지가 여중생의 참여도 및 정의적 영역 변화에 미치는 영향
- 주제(키워드) 수업일지 , 체육수업일지 , 체육수업 , 정의적 영역 , 체육수업 참여도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최대혁
- 발행년도 2018
- 학위수여년월 2018.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체육교육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63084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는 여자중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체육수업일지 실행 유무 집단에 따른 체육수업 참여도와 정의적 영역의 차이를 알아보고, 체육수업일지 작성이 체육수업 참여도와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과 체육수업 참여도가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후 학생들에게 양질의 체육수업을 실천하고 수업전략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에 소재한 S여자중학교 1, 2, 3학년학생 통제집단 177명, 실험집단 177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실험집단에 한하여 4주후에 다시 설문지를 돌렸다. 이중기입, 무응답, 불성실한 답변 등 누락 자료를 제외하고 사전, 사후 설문지 총 354부의 자료를 연구의 표본으로 사용하였다. 통계 분석 방법은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본 연구 문제에 따라 t-test,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위 같은 연구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체육수업일지 실행 유무 집단에 따른 체육수업 참여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년에 따른 체육수업 참여도는 1학년, 2학년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년별 집단에 따른 참여도는 참여 수준과 흥미도에서 2학년, 3학년, 1학년의 순으로 높았고 참여 동기는 2학년, 1학년, 3학년 순으로 높았다. 집단에 따른 참여도는 참여 수준, 참여 동기 흥미도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체육수업일지 실행 유무 집단에 따른 정의적 영역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년에 따른 정의적 영역의 차이는 2학년, 3학년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년별 집단에 따른 정의적 영역의 차이는 적극성, 책임감, 협동성, 사회성 4가지 요인에서 모두 3학년, 2학년, 1학년의 순으로 차이가 높았다. 집단에 따른 정의적 영역의 차이 또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체육수업일지 작성이 체육수업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체육수업일지 작성이 체육수업 참여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체육수업일지 작성이 정의적 영역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체육수업일지 작성이 정의적 영역 변화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섯째, 체육수업 참여도가 정의적 영역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살펴본 체육수업일지는 체육수업 참여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체육수업 참여도가 정의적 영역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체육수업 참여도를 높이는 수업 전략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