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연된 실패 : '공업고등학교'는 어떻게 낙인을 재생산 하는가
Delayed Failure: How does 'vocational technical high school' reproduce stigma
- 주제(키워드) 낙인 , 정치 , 정치적 능력 , 능력주의 , 학력 , 교육 , 공업고등학교 , 특성화고등학교 , Stigma , Politics , Political competence , Meritocracy , Credential society , Academic background , Underachiever , Vocational education , Secondary education , Vocational technical high school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전상진
- 발행년도 2018
- 학위수여년월 2018.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사회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63071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공업고등학교가 포함된 중등직업교육과정은 대학 진학을 목표로 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한국사회 내 대학 진학률이 높아질수록 교육 체계 내 지위가 낮아지고 있다. 선행연구들은 ‘학력’의 차이가 정치적 능력의 불평등을 가져오는 주요 요소라는 점은 입증했지만 교육체계에서 낮은 지위에 놓인 학생 집단이 어떻게 정치적 능력을 함양하지 못하는 지 설명하지 못했다. 본 논문은 어빙 고프먼의 ‘스티그마(낙인)’와 피에르 부르디외의 ‘정치적 능력’을 분석틀로 공업고등학교 학생들이 한국의 신자유주의적인 능력주의 교육 환경에서 직업교육으로 진학함으로써 ‘학업부진아’ 낙인이 강화되는 과정과, 낙인 효과와 직업교육과정이 이들의 낮은 정치적 능력을 재생산 하는 과정을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연구는 중등직업교육기관인 특성화고등학교 가운데 공업고등학교를 연구집단으로 설정하고, 공업고등학교 학생 30명과 공업고등학교 교사 12명, 시민단체 멘토 1명의 인터뷰 분석을 시행했다. 인터뷰 분석 결과 중등직업교육기관으로의 진학이 연구참여자들의 ‘학업부진아’ 낙인을 ‘고졸자’라는 학력 낙인으로 강화시키고, 능력주의 신화가 이와 같은 낙인을 개인화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교육체계에서 비롯된 낙인이 연구참여자들로 하여금 스스로를 정치와 구별 짓도록 하고, 직업교육과정이 정치담론과의 구별 짓기를 강화시킨다는 사실이 나타났다. 이와 함께 신자유주의적 교육정책에 의해 산업의 중등직업교육과정 잠식이 가속화될수록 직업교육과정이 학생들에게 정치적 능력을 함양시키기 어렵게 만든다는 점도 함께 확인 되었다.
more초록/요약
Since the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such as vocational technical high school(VT) does not aim to prepare students for high education, its status in the educational system is decreasing as the university entrance rate increases in South Korea. Although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the difference in ‘academic background' is a major factor in the inequality of political competence, they fail to explain how a group of students in a lower educational system cannot cultivate political competence. Employing analytical framework of Erving Goffman's “stigma,”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ocess of strengthening the stigma towards the VT students as “underachiever” as the students chose the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ion in the neoliberal meritocratic educational environment. Applying Pierre Bourdieu’s concept of “political competence,” it also explores how stigmatizing effects and vocational education courses reproduce low political competence among the VT students. This research focuses on a VT among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ion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30 VT students, 12 VT teachers, and 1 of the students’ mentor from an non-government organization. The findings show that the students' stigma as the “underachievers” are strengthened as “high school graduates” as they enter the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The “meritocratic value” which is prevalent in Korean society personalizes the students’ stigma. Furthermore, the stigma stemming from the education system led the VT students to distinguish themselves from politics. The vocational curriculum strengthened such distinction, since it is becoming less able to develop students' political competence with increasing neoliberal educational policie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