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교과서의 복합양식 문식성 연구
A Study on the Multimodal Literacy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 주제(키워드) 국어교육 , 매체언어 교육 , 복합양식 문식성 , 신문식성 , 국어 교과서 분석 , 질적 연구 , 시각 언어 , 복합양식 유형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주세형
- 발행년도 2018
- 학위수여년월 2018.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국어교육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63050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는 국어 교과서의 복합양식 문식성 구현 양상을 살피고자 중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를 대상으로 분석한 질적 연구한 것이다. Ⅱ장에서는 현행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살펴 복합양식 문식성 교육내용을 명시적으로 드러낸 부분을 검토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Ⅲ장에서는 국어 교과서를 단원 체제별, 영역별, 내용 체계별, 텍스트 유형별로 구분하여 복합양식 문식성 구현 양상을 살폈다. 그 결과, 소단원에서는 주로 ‘도식화’가 학습활동에서는 ‘말풍선’을 활용한 그림, 만화 등이 가장 많이 활용되는 양상을 보였으며 의미 구성 방식은 대응-정교화의 형태가 가장 많았다. 영역별 구현 양상은 문학과 듣기·말하기 영역에서 전형성이 두드러졌는데, 문학은 대응-정교화의 의미 구성의 형태로 그림을 활용하였으며 복합양식 유형은 적게 사용하는 대신 편집적 요소로 텍스트를 ‘디자인’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듣기·말하기 영역은 다양한 복합양식 유형을 활용하며 시각 언어의 활용도도 높았으나 단일양식 텍스트로만 대화를 제시하는 경우가 있어 개선이 필요해 보였다. 내용 체계에 따른 구현 양상에서는 ‘지식’의 시각 언어의 활용도가 높았으며 ‘기능’은 학습자가 직접 그림 혹은 사진으로 등장해 학습 과정을 진행해가는 양상을 보였으나 ‘태도’ 는 전형성이 뚜렷이 발견되지 않았다. 텍스트 유형별 구현 양상의 경우 자료 텍스트는 대부분 시각 언어가 포함된 복합양식 텍스트로 제시되었으며 텍스트의 종류에 따라 문학 작품은 그림이, 설명적 텍스트는 사진 및 도표 등의 시각 언어가 빈번하게 등장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지시 텍스트는 시각 언어의 활용도가 낮았고 활동 지시문에는 문자 위주로 텍스트가 구성되는 경우가 많았다. 과제 텍스트는 그림이나 사진보다는 학습자의 학습 활동 영역을 빈칸으로 제시하되 주로 줄이나 배경색, 글 상자 등으로 도식화하여 표현하였다. 원리 텍스트는 다른 영역에 비교해 그림, 사진은 적게 등장했으나 표나 말풍선, 순서도 등의 복합양식 유형이 적극적으로 활용되었다. Ⅲ장의 분석 내용을 토대로 Ⅳ장에서 국어 교과서의 복합양식 문식성 구현 양상 분석 결과를 첫째, 복합양식 텍스트 의미 구성 방식의 다양성 부족 둘째, 복합양식 문식성 신장을 고려한 쓰기 활동 내용 부족 셋째, 태도 교육 내용 구현을 위한 복합양식 텍스트 부족 넷째, 매체 언어의 특성을 적절히 반영한 복합양식 텍스트의 부족의 네 가지로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복합양식 문식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한 국어 교과서 구성·제작을 위해 체계화된 원칙을 정립하는데 참고자료로서 그 의의가 있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