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국내 주식시장의 산업 간 동조화 및 변동성 전이 분석 : 금융업과 취약업종을 중심으로

초록/요약

국제금융시장의 통합화가 나타나면서, 금융시장 참가자들은 한 시장의 충격이 시간에 따라 다른 시장에 어떻게 전이되는지에 관심을 가졌다. 또한 금융위기 이후 수출 환경이 악화되고, 내수 경기가 침체하면서 한계기업이 증가했다. 이와 함께 대외적 환경 및 국내 경기 변동에 큰 영향을 받으며 리스크가 부각된 업종에 대하여 구조조정 및 규제 등이 진행됨에 따라, 주식시장에서 이러한 취약업종과 자금 연관성이 높아 이슈가 되고 있는 금융업과의 관계에 대하여 주목할 필요가 있다. 특히 위기를 경험한 대부분의 국가에서 금융업은 어려움을 겪었으므로, 이러한 금융업의 취약성은 거시 경제적 관점에서도 중요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금융업을 매개로 하여 각 실물 산업이 금융시장에 주는 영향을 살펴보고, 취약업종(화학, 철강, 건설, 조선, 해운)에서 금융업으로의 수익률 및 변동성 전이 효과를 분석한다. 또한 추정한 분산 및 공분산을 활용하여 투자 결정 방식과 취약업종의 위기가 금융업으로 이어질 손실에 대하여 설명함으로써 실증분석의 유용성을 보이고자 한다. 분석을 위해 두 가지 방법론을 적용한다. 첫째, 주식시장에서 취약업종과 금융업의 동조화 현상이 타 업종과 금융업의 동조화 현상보다 크게 나타나는지 확인하기 위해, 변수의 수에 제약이 적은 DCC-GARCH 모형을 이용하여 동태적 조건부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둘째, 모형별로 유사한 결과를 보이는지 확인하고, 취약업종과 금융업의 수익률 및 변동성 전이효과를 직접 살펴보기 위해 BEKK-GARCH 모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타 업종보다 취약업종에서 금융업과 동조화 현상이 강하게 나타나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업종 간의 동조화 현상이 경제적 위기 시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위기 시, 취약업종과 금융업의 관계에 더욱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내포한다. 아울러 수익률 전이효과는 철강, 건설에서 금융업으로 나타나며, 변동성 전이효과의 경우, 철강, 건설, 조선, 해운에서 금융업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처럼 다양한 취약업종에서 금융업으로 변동성 전이가 나타나는 것을 통해, 금융업과 취약업종 간의 시장 간 헤징과 공통 정보의 공유가 나타난다고 해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분석된 실증결과를 활용하여 투자 측면과 금융 정책에 관련한 정보 제공 측면을 설명함으로써 본 연구의 유용성을 나타냈다. 특히 특정업종 위기 시 금융 산업 별 손실을 살펴봄으로써 취약업종의 위기와 동시에 큰 손실을 가지는 금융 산업은 증권, 상업은행 위주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취약업종과의 연계성을 고려한 리스크 관리를 위해서는 상업은행과 상호저축은행의 경우 경기대응완충자본의 역할이 중요하며, 증권사의 경우 우발채무의 관리 등이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