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작문 평가 문항의 내용타당도 및 지식의 깊이 분석 : 대학수학능력시험 언어·국어 영역을 대상으로

초록/요약

본 연구는 수능 언어영역·국어영역의 ‘작문’영역 문항을 분석해 수능과 교육과정의 연관성에 대해 살펴보고, 수능이 학교교육의 내실화에 기여할 수 있는 교육 및 평가의 개선방안에 대해 제언하고자 살펴본 연구이다. 이를 위해 본고는 세 가지 연구문제를 상정해 작문 영역을 연구하는 이유를 밝히고 내용타당도와 지식의 깊이를 분석 기준으로 삼은 이유와 평가문항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교육 및 평가의 개선 방안에 대해 제언할 것을 밝혔다. Ⅱ장에서는 수능과 같은 간접평가방식의 의의에 대해 알아보고, 작문 교육 내용의 핵심 요인인 ‘작문 능력’을 먼저 살펴보았다. 또한 내용타당도와 지식의 깊이에 대한 개념을 확인한 후 자세한 분석 기준을 설정하였다. 내용타당도는 평가 기준과 평가 문항의 연관성을 확인한 후, 내용타당도 수준을 ‘상-중-하’로 나누어 측정하고 분석하며 평가기준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04)을 따랐다. 지식의 깊이는 천경록(2009ㄴ)에서 새롭게 고안한 지식의 깊이(DOK)의 수준의 척도를 따랐으며, 성취기준의 지식의 깊이와 이를 평가하려는 문항의 지식의 깊이를 분석하고 비교한다. 이때 문항의 지식의 깊이가 성취기준의 지식의 깊이와 같거나 높은 문항의 비율이 50%이상일 때, 지식의 깊이 수준을 수락할 수 있다고 판단한다. Ⅲ·Ⅳ장에서는 교육과정과 수능 작문영역 평가문항의 정합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Ⅱ장에서 설정한 분석 기준을 활용해 내용타당도와 지식의 깊이 일치도를 분석하고, Ⅴ장에서는 교육적 활용 및 의의에 대해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2008학년도부터 2017학년도까지의 수능 작문 평가문항과 교육과정의 연계성을 살펴보고, 수능이 교수-학습 현장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교육적 의의를 도출하기 위해 내용타당도와 지식의 깊이를 기준으로 삼아 분석한 연구이다. 본고에서는 대외비 자료인 수능 평가 틀 대신에 교육과정을 평가 틀로 삼아 자료를 분석했기 때문에 당초의 의도와 다르게 분석했을 수 있다는 한계점을 갖는다. 그러나 본 연구는 교육과정-성취기준을 근간으로 분석했기 때문에, 성취평가제로 운영되고 있는 교수-학습 현장에서 교육내용의 위계성을 고려한 지식의 깊이를 활용해 평가문항을 출제한다면 학습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할 때 보다 많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 수능과 교수-학습 현장을 유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