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중심학습(Problem Based Learning)에 기반한 탐구활동 문항 개발 사례 연구 : 일제강점기 민족운동 단원을 중심으로
- 주제(키워드) PBL , 문제중심학습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전인갑
- 발행년도 2018
- 학위수여년월 2018.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역사교육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62988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많은 교수자들이 문제중심학습(Problem Based Learning;PBL)의 문항개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PBL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음에도, 교수자들이 문항개발에 어려움을 겪는 이유는 실제 사례를 바탕으로 문제 개발 과정의 각 단계를 구체적으로 소개한 연구가 부족했기 때문일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필자의 사례를 통해 PBL 문제를 개발하는 과정을 드러내기 위한 연구이다. PBL 문제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먼저 PBL에 대한 이해가 전제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PBL의 개념과 특징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또한 역사교육과 관련한 PBL 연구는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살펴보았다.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역사교육학계에서도 실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PBL에 기반한 탐구활동이나 수업모형이 많이 개발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문항 개발은‘단원 선정→교육과정 검토와 목표 설정→자료 수집→PBL 문제 특성에 기반한 출제 연습→문제 시나리오 작성(문제 초안 작성 및 최종 진술)→타당성 검토’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PBL 문제는 통합적인 문제해결력을 배우게 하는 것이 목적인만큼, 고등학교 『한국사』‘일제 강점과 민족 운동의 전개’를 중심 단원으로 선정하고 고등학교 『화법과 작문』 ‘설득을 위한 글’을 관련 단원으로 선정하였다. 선정한 단원의 교육과정을 검토하여 학습자가 학습해야할 내용요소를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중심 단원과 관련 단원의 목표를 지식, 기능, 태도의 측면에서 설정하였다. 그 후 자료 수집을 통해 기존의 PBL 문제들은 어떤 유형이 있는지 살펴보고 그를 표로 정리하였으며, 실제적 맥락을 가지게 하기 위해 학습자들이 최근에 접할 수 있는 해당 단원과 관련한 이슈는 무엇이 있을지 살펴보았다. PBL 문제의 특성을 보다 더 잘 이해하기 위해 PBL 문제의 특성을 네 가지로 나눈 후, 각각의 특성에 기반하여 문제 출제를 연습하고 일반적인 문제와 비교하였다. 문제 시나리오 작성에서는 배경, 상황, 역할로 시나리오 항목을 설정하여 초안을 작성하고 여기에 상황을 좀 더 구체화 하고 문제해결과정을 조금 더 복잡하게하기 위해 초안에 없던 몇 가지 제한점을 두어 최종 문제 시나리오를 진술하였다. 이렇게 본고는 어떠한 과정을 거쳐 어떠한 문제를 개발했는지 소개하고 PBL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PBL에 기반한 탐구활동 문항을 개발한 연구이다. 단순한 사실의 숙련이 아닌 새로운 지식과 사전지식을 통합하고 그 의미를 이해하는 것이 꼭 필요한 주제나 단원에서, 교수자들이 PBL의 시도를 주저하지 않고 도전을 멈추지 않길 바란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