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파워링 리더십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과업특성 및 부하 목표지향성의 조절효과
- 주제(키워드) 임파워링 리더십 , 조직유효성 , 직무열의 , 이직의도 , 과업특성 , 목표지향성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이인석
- 발행년도 2018
- 학위수여년월 2018.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경영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62962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임파워링 리더십은 부하에게 직무에 대한 권한과 책임을 위임하는 것을 가장 기본적인 전제로 하며 이러한 환경에 필요한 리더의 행동적 특성들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오늘날 수평화, 분권화된 조직구조에 가장 효과적인 리더십으로 주목받고 있다. 기존의 임파워링 리더십 관련 연구에서는 주로 임파워링 리더십의 긍정적인 효과를 주장하고 있으며, 최근 들어 임파워링 리더십의 부정적, 비선형적인 효과가 연구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에 대한 관심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임파워링 리더십의 부정적인 측면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임파워링 리더십의 긍정적인 효과만을 강조하기 보다는 그 효과를 저해할 수 있는 보다 특정한 상황요인에 초점을 두고, 임파워링 리더십에 대한 주의와 경계조건을 시사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임파워링 리더십이 조직유효성(직무열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둘째, 임파워링 리더십과 조직유효성 간의 역학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변수로 그동안 거의 연구되지 않았던 과업특성과 목표지향성에 주목하여 임파워링 리더십의 효과를 저해할 수 있는 상황요인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를 진행하며, 이를 통해 이론적,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임파워링 리더십, 직무열의, 이직의도, 과업특성 및 목표지향성에 대한 이론적 논의들을 기초로 하여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다. 측정도구의 선정을 위하여 1주일 간 교내 경영전문대학원에 재학 중인 MBA학생 40명을 대상으로 사전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를 토대로 최종적으로 설문에 사용될 측정도구를 선정하였다. 이후 연구가설의 검증을 위하여 국내 대기업(전기전자, 통신), SI업체, 인터넷 서비스, 게임회사, IT관련 연구소 등의 IT기업 종사자 총 2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유효한 설문 215부를 본 연구의 실증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임파워링 리더십은 조직유효성 즉, 직무열의에 정(+)적, 이직의도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업 예외성이 높거나, 분석가능성이 낮은 경우 또는 부하의 학습지향성이 높은 경우, 임파워링 리더십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정(+)적인 효과는 더욱 강하게 나타난 반면, 과업 예외성이 낮거나, 분석가능성이 높은 경우 또는 부하의 학습지향성이 낮은 경우, 임파워링 리더십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정(+)적인 효과는 약화되어 나타났다. 또한 부하의 성과회피지향성은 임파워링 리더십과 직무열의 및 이직의도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예측과 다르게 나타나 가설은 기각되었는데, 이는 IT기업의 인적, 환경적 특성이 반영되어 나타난 것으로 추론해볼 수 있다. 결국 과업특성과 부하 목표지향성은 임파워링 리더십의 효과를 강화시키거나 약화시키는 특정한 상황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임파워링 리더십이 조직유효성(직무열의, 이직의도)의 선행요인이 될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밝힘으로써 조직 내 임파워링 리더십이 매우 중요함을 시사하며, 임파워링 리더십의 효과를 저해할 수 있는 상황요인(과업특성, 목표지향성)에 대한 연구 결과는 임파워링 리더십을 성공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주의 및 경계조건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결국 임파워링 리더십은 항상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다주는 것은 아니며, 임파워링 리더십이 발휘되는 대상의 목표지향성과 과업특성에 대한 개인의 지각에 따라 임파워링 리더십의 긍정적인 효과가 저해되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임파워링 리더십을 행사하기에 앞서 반드시 이에 대한 적절한 조치가 필요할 것이다. 아울러 임파워링 리더십 관련 선행연구에서 직무열의와 이직의도를 함께 검증하거나, 과업특성을 상황요인으로 살펴본 연구가 없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차별점이 있으며, 기존 연구를 이론적으로 확장함과 동시에 기업에 중요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more초록/요약
Empowering leadership is the most basic premise of delegating authority and responsibilities to subordinates, and it is attracting attention as the most effective leadership in today's horizontalized, decentralized organizational structure because it includes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leaders in these environments. The existing empowering leadership research is mainly aimed at the positive effects of empowering leadership. In recent years, the negative and non-linear effects of empowering leadership have been studied. Despite the need for interest, however, there is still a lack of research on the negative aspects of empowering leadership.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more specific situation factors that can hinder the effect of empowering leadership rather than emphasizing only the positive effect of empowering leadership.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 First, I examine the effect of empowering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job engagement, turnover intention). Second, empirical research is conducted on situational factors that can hinder the effects of empowering leadership, focusing on task characteristics and goal orientation which have been rarely studied as moderating variables. This will provid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were set based on theoretical discussions on empowering leadership, job engagement, turnover intention, task characteristics and goal orientation. For the selection of measurement tools, I conducted a preliminary survey of 40 MBA students attending MBA graduate school for one week.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 finally selected the measurement tools to be used in the questionnaire.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I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n a total of 240 IT company employees in large corporations (electronic, communication), SI companies, Internet services, game companies and IT related research institutes. Finally, I used 215 final questionnaires as empirical analysis data of this study. As a result, empowering leadership has a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other words, empowering leadership has a positive effect on job engagement, and a nega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The empowering leadership has a stronger positive impact on job engagement when task exception is high, analyzability is low, or mastery goal orientation is high. However, when task exception is low, analyzability is high, or mastery goal orientation is low, the positive effect of empowering leadership on job engagement is weakened. In addition, performance avoidance goal orientation was found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ut the hypothesis was rejected because it was different from the prediction. This can be deduced as reflecting the human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IT companies. Finally, task characteristics and goal orientation can be seen as specific situational factors that enhance or weaken the effectiveness of empowering leadership.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empowering leadership contributes to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y enhancing job engagement and lower turnover intentions of organizational members. The results of research on task characteristics, goal orientation, which can hinder the effects of empowering leadership, are meaningful in that they provide caution and boundary conditions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empowering leadership. In the end, empowering leadership does not always have a positive effect. The positive effects of empowering leadership can be hindered by individual perception of task characteristics and goal orientation of organizational members, so proper action should be taken before empowering leadership. In addition, there is a difference in this study in that there is no study that examines job engagement and turnover intention together with task characteristics in situational factors in empowering leadership related study. And it will expand existing research theoretically and provide important practical implications for businesse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