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탈청년, 남한사회에서 성장하기 : 사회적응과 문화변용을 중심으로
- 주제(키워드) 북한이탈주민 , 북한이탈청년 , 사회적응 , 문화변용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전상진
- 발행년도 2018
- 학위수여년월 2018.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사회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62896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 적응문제는 다양한 학제에서 다뤄지고 있으나, 성인 중심으로 편향되었으며, 소수의 북한이탈청년에 관한 연구들도 대부분 대학생만을 연구대상으로 삼고 있다. 따라서 대학에 진학하지 못한 절반의 북한이탈청년은 지금껏 주목받지 못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북한이탈청년의 개념을 명확히 정의하며, 연구 대상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사회적응과 문화변용 개념을 결합한 분석 틀을 기반으로 이들의 남한사회 적응양상을 분석한다. 연구자는 2016년 8월부터 2017년 6월까지 총 9명의 북한이탈청년을 2~3차례 만나 심층면담을 진행하며 기초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총 다섯 유형으로 북한이탈청년의 남한사회 적응유형을 분류했다. 첫째, ‘영웅형’은 발전·주변화로 위치한다. 이들은 거시적이고 민족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적극적으로 자기계발에 몰두한다. 남, 북 출신에 관계없는 넓은 사회적 관계망을 형성하며, 특히 북한이탈청소년, 조선족 등 남한사회 소수자를 위한 봉사활동에 적극적이다. 영웅형은 스스로를 남, 북 어디도 아닌 중립적인 새로운 존재로 인식한다. 둘째, ‘실속형’은 발전·동화로 위치한다. 실속형은 자신의 성향, 적성을 고려해 ‘잘할 수 있는 일’을 직업적 목표로 삼는다. 남한사회 초기 정착 과정에서 받은 트라우마로 실속형은, 북한 또래집단과는 단절되고, 남한 또래집단에게 편향된 사회적관계망을 보이며 남한사회 동화되는 성향을 드러낸다. 셋째, ‘활동형’은 발전·통합에 위치한다. 이들은 자유의 가치를 선호하고, 적극적으로 외부활동에 참여하면서 사회 관계망에 집중한다. 활동형은 남, 북 출신에 관계없이 넓은 관계망을 갖고 있으며, 특히 남한 청년들에게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편견 을 깨트리는 역할을 담당한다. 반면에 활동형은 정체성에 대한 고민을 불필요하게 여기며 회피한다. 이들은 때에 따라 습득한 남한의 문화와 북한의 정체성을 적절히 드러내며, 상황에 맞는 대응전략을 사용한다. 넷째, ‘성취형’은 극복·통합에 위치한다. 성취형은 남한사회에서 전문성을 갖춰 남한사람들보다 뛰어난 경험과 능력을 소유한다면 자신에 대한 편견을 극복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자기계발 중심의 생활세계를 나타낸다. 그리고 이러한 인정투쟁을 위해 남, 북의 문화 중 장점으로 취할 수 있는 영역을 선택적으로 취한다. 마지막으로 ‘안정추구형’은 극복·고립에 위치한다. 이들은 남한사회에서 안정되는 것을 최우선적인 목표로 삼는다. 즉, 수입의 크기보다도 안정적으로 돈을 벌 수 있는 직장을 추구한다. 이들은 남한사회에서 적극적인 관계 형성을 지양하며, 관계의 단절을 통해 남한사회의 부정적인 시각을 회피한다.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연구 중에서도 빈약했던, 북한이탈청년에 대한 지식을 확장했다는 의미가 있다. 또한 북한이탈청년의 개념을 명확화하며, 연구 대상을 대학진학 여부와 관계없이 청년층을 포괄했음에 중요한 의미가 있다. 분단 상황에서 북한이탈주민은 통일이란 미래적 측면에서 주목받고 있으며, 그 중 청년은 특히 관심 받는다. 따라서 북한이탈청년에 대한 지식의 확장은 통일 이후의 한국사회를 선견하는데 필요하며, 이들의 특성 상, 현재 남한사회의 이주민, 소수자 문제를 간접적으로진단하는 데에도 무시할 수 없는 함의가 있다.
more초록/요약
North Korean refugees are attracting attention in South Korean society due to the specificity of South-North division. The issue of North Korean refugees adapting to the South Korean society is being addressed in various academic disciplines, but is biased toward the adult. In addition, a small number of studies on North Korean youth refugees mainly focus on universities students. Therefore, a considerable number of North Korean youth refugees who did not enter universities have not been noticed, and there are very few studies dealing with their adaptation problems. This study focuses on analyzing the social adaptation appearance of North Korean refugees regardless of whether they go to university or not,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Based on the analysis framework that combines social adaptation and cultural transformation concepts, this study analyzes the adaptation appearances of North Korean youth refugees to South Korean society. From August 2016 to June 2017, the researcher met with a total of nine North Korean youth refugees, two or three times to conduct in-depth interviews and collect basic dat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researcher could classify the North Korean youth refugees' adaptation appearance of South Korean society into five types. The first type is ‘Hero’. They set clear, distinct goals for Korean-ethnic, engage in active self-development, and prepare for the future. In the peer group relationship, they have a wide interpersonal relationship regardless of whether they are from South or North. Especially, they actively participate in volunteer activities for minorities in South Korean society such as North Korean youths and Korean-Chinese. ‘Hero’ type recognizes itself as a neutral and new being that does not belong anywhere else in the south and north. Second, 'Clever type'. The Clever type actively prepares the future with the aim of 'a thing that can do well' in consideration of individual tendency and aptitude. Clever type tends to be assimilated by the trauma from the early settlement process in the South Korean society, which is disconnected from the peer group in North Korea and concentrated relationship with the peer group in South Korea. Third, 'active type' prefers the value of freedom in South Korea and focuses on social network through actively participating in external activities. The active type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many peer groups, regardless of whether they are from South or North, and plays a role of breaking the prejudice against North Korean refugees to the South Korean peer group. On the other hand, they want to be free by avoiding serious concerns about their identity. The type of activities that meet people as diverse as the active ones appropriately reveals the cultures of South Korea and the identity of North Korea acquired at times, and uses appropriate response strategies. Fourth, 'accomplishment type' thinks that it can solve the social prejudice against North Korean refugees if they possess expertise and ability in South Korean society than South Koreans. Therefore, they represent the living world centered on self-development. In addition, they take advantage of the cultures of South Korea and North Korea for their struggle for recognition. Lastly, 'stable pursuit' makes life more stable than other values in South Korean society as a top priority. Specifically, they pursue a job where they can make stable money regardless of the size of income. Therefore, the stable pursuit type is faithful to the academic achievement but does not develop self-development beyond necessity. Because they experienced discrimination and neglect in the South Korean society, they try to avoid the negative view of South Korean society through the disconnection and avoid active relationships. This study implies that the knowledge about North Korean youth refugees is expanded. It is also important that not only the North Korean refugees but also all youth regardless of whether they go to university or not have been targeted. In the situation of division, refugees are attracting attention as the ‘future’, and youth are especially important. The expansion of the study on North Korean youth refugees will help to anticipate Korean society after reunification, and it is also important to diagnose migrant and minority problems in South Korean societ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