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SNS 효용성 평가에 대한 인지 불일치와 사용자의 지속적 사용의도의 관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gnitive difference on SNS utility evaluation and users’continuous intention

초록/요약

본 연구는 SNS 효용성 평가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와 지속 사용의도에 대해 분석하였다. 평가 대상 SNS는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밴드이다. 기존의 효용성 평가 기준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SNS 효용성 평가와 SNS 회사 자체 효용성 평가에 대한 사용자 추측 인지를 측정하였다. 두 인지 차이를 인지 불일치로 정의하였다. 사용자 평가와 지속사용의도 사이 그리고 인지 불일치 평가와 지속사용의도 간의 관계를 의사결정나무 추론으로 분석하였다. 의사결정나무 가지 분리에 가장 영향력이 큰 변수로 정보품질 변수와 맞춤화 변수로 나타났다. 개방형, 준 폐쇄형과 폐쇄형 SNS로 가지 분리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변수를 살펴보았다. 개방형 SNS에서 사용자 평가는 콘텐츠 관리 변수 그리고 인지 불일치 평가에서는 정보 품질 차원이 선정되었다. 준 폐쇄형 SNS는 사용자 평가와 인지 불일치 평가에서 신뢰성과 맞춤화 변수가 분리를 일으켰다. 폐쇄형 SNS의 사용자 평가에서 신뢰성과 안정성 변수가 영향을 주었다. 인지 불일치 평가에서 충족성/적시성, 콘텐츠 관리, 광고 빈도와 맞춤화 변수가 선택되었다. 이는 SNS 서비스 제공 업체가 서비스 제공 시, 정보의 신뢰성, 적시성, 충족성과 검색능력을 고려해서 사업을 운영해야 함을 제시한다. 본 연구 결과는 SNS 업체의 경영 전략과 서비스 개선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NS users’ utility evaluation and the users’ continuous intention as well as satisfaction. The objects of analyzing SNS services include Facebook, Instagram, Twitter, KakaoStory, and Band. Using some of the existing utility evaluation criteria, a user's evaluation of the utility of the SNS and a user’s cognition on the SNS firm’s own evaluation of its service are measured. The results of decision tree induction were us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rs’ utility score and continued usage intention and, between the cognitive difference utility score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The information quality dimension and the personalization variable have the greatest effect on the decision tree induction separation from the user and the cognitive difference evaluation. Perspective of users’ continuous intention, both assessments have personalization variable selected as the highest variable with separation frequency. The results showed variables that most significantly affect separation of branches through public, semi-public and closed social networking sites. In the public SNS, the user evaluation was selected as the content management variable and the cognitive difference evaluation was selected as the information quality dimension. In a semi-public SNS, reliability and personalization variables resulted in separation in both user and cognitive difference evaluations. Reliability and stability variables influenced user evaluation of closed SNS. Evaluation of cognitive difference in closed SNS, satisfaction/timeliness, content management, advertisement frequency and customization variables were selected. It is suggested that SNS service providers should operate in consideration of information reliability, timeliness, sufficiency and search ability when providing servi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tilized to improve business strategies and the services for the social networking services companie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