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이 일과 삶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 :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및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The Effect of Abusive Supervision on Work-Life Balance :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and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초록/요약

일반적인 리더십 연구는 성공적인 리더 육성 및 확보에 초점을 두었다. 이에 비해 부정적 리더십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부정적 리더십은 부하 종업원의 일탈, 이직, 직무만족 저하 등의 원인으로 부하 종업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주면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부정적 리더십 중에서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이 주목받고 있다. 비인격적 감독은 종업원의 정신적 건강, 직장 내 직무 태도, 대인관계 외에 직장 외인 영역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본 연구는 경인지역 종업원을 중심으로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이 일과 삶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및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선행 연구들과 이론을 검토하였으며 국내 경인지역 종업원 222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진행했다. SPSS21을 이용하여 타당성, 신뢰성, 가설 검증을 진행했으며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및 회복탄력성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Process Macro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은 종업원의 일과 삶의 균형에 부(-)적인 영향을 주며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은 종업원의 직무스트레스에 정(+)의 영향이 있으며 직무스트레스는 일과 삶의 균형에 부(-)적인 영향이 있다. Baron & Kenny의 매개효과 검증 과정을 통해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추가적으로 Process Macro를 통해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확인하였다.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에 대한 연구 가설은 기각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은 종업원의 일과 삶의 균형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을 방지하기 위해 기업은 직무관련 평가 외에 대인관련 평가 항목의 개선 및 강화가 필요하다. 둘째, 일과 삶의 균형과 관련된 다양한 제도들이 존재하지만 제도의 도입 외에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을 방지하면 종업원들이 일과 삶의 균형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을 것이다. 다수의 조직 내에는 부정적인 리더는 존재하고 비인격적 감독은 종업원의 일과 삶의 균형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부하 종업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일과 삶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기 위해 조직은 다양한 차원의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more

초록/요약

General leadership study has focused on fostering and securing successful leaders. However, studies on negative leadership are lacking. The need for research was raised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employees, as negative leadership could lead to turnover, and reduced job satisfaction of employees. Of the negative leadership, abusive supervision is gaining attention. Abusive supervision negatively affect employee mental health, job attitud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is study demonstrated the effect of abusive supervision on work-life balanc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and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Prior studies and theories were reviewed and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222 employees in the Seoul and Incheon area. Using the SPSS, validation, reliability, and hypothesis verification were conducted and Process Macro was used to validate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and mediated-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According to the result, abusive supervision have negative effect on work-life balance and abusive supervision have positive effect on job stress and job stress have negative effect on work-life balance. Through Baron & Kenny’s mediating effect process,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was identified, and, in addition,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were confirmed through Process Macro. Studies have been rejected for the effect of resilience’s moderating effect and mediated-moderating effect. Based on this study, The implications are as follows : First, Abusive supervision have negative effect on work-life balance. To avoid abusive supervision, businesses need to improve and strengthen their interpersonal evaluation items besides job-related evaluations. Second, Although there are various systems related to work-life balance, besides the introduction of the system, employees will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work-life balance, preventing abusive supervision. There is a negative leader in many organizations, and abusive supervision have negative effect on work-life balance. Organizations will need to take a different approach to reduce the impact of this on the job stress and work-life balance of employee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