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윤리의식 척도 개발 연구 : 그리스도교적 생명관을 바탕으로
The Development of Bioethics Awareness Scale : Focused on the Christian view of life
- 주제(키워드) 생명윤리 , 생명윤리의식 , 생명윤리의식척도 , 그리스도교적 생명관 , 생명의료윤리 , 생명존중윤리 , 생명공학윤리 , 척도개발 , Bioethics , Bioethics awareness , Bioethics Awareness Scale(BAS) , Christian view of life , Biomedical ethics , Life respect ethics , Biotechnology ethics. Development scale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 지도교수 김진욱
- 발행년도 2017
- 학위수여년월 2017. 8
- 학위명 박사
- 학과 및 전공 신학대학원 가톨릭사회복지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62260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는 생명윤리의식을 측정하는 척도 개발을 목적으로 한 연구이다. 이는 하느님으로부터 선물 받은 우리 인간의 생명을 어떻게 하면 잘 보살필까하는 근원적인 물음에서 출발하였다. 인간의 생명이 수단적 가치가 아닌 그 자체가 목적을 포함하는 최상위 가치임을, 그리스도교적 세계관과 인격주의 안에서 공고히 하고자 하는 근본적인 목표를 내포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세 가지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1]에서 생명윤리의식에 대한 개념을 확인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를 실시하여 생명윤리적 의사결정 모델을 제시한 후, [연구 2]에서 델파이 방법과 1차 설문조사,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본 문항을 구성하고, [연구 3]에서 본 문항에 대한 2차 설문조사 결과를 기초로 하여 척도의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각 연구별 연구방법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1]에서는 생명윤리적 이슈가 발생할 때 일반적으로 어떠한 의사결정을 하게 되는지에 대한 모델을 정립하고자 생명관련 키워드수집, 포커스그룹인터뷰(FGI), 1:1인터뷰를 통해 자료수집을 하고 질적 연구방법론 중 발견적 연구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131명의 보건복지 전공의 대학생에게 ‘생명’과 ‘생명윤리의식’이라는 단어를 보고 떠오른 4~6개의 키워드를 적게 하였고 둘째, 생명윤리 전문가 및 생명운동 실천가 5명을 대상으로 1:1 전문가 인터뷰를, 생명문제에 관심이 있고 생명운동을 실천하고 있는 대학생 6명을 대상으로 1:1 대학생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셋째, 8명으로 구성된 전문가 포커스그룹 1팀과 8명으로 구성된 대학생 포커스 그룹을 운영하여 생명윤리의식의 구성요소를 논의하였다. 그 결과 생명관련 키워드 분석 결과인 828개의 개념과 인터뷰 내용분석 결과인 179개의 개념, 총 1,007개의 개념이 추출되었으며 범주화를 통해 생명윤리적 의사결정 모델을 개발하였다. [연구 2]에서는 [연구 1]에서 개발된 생명윤리적 의사결정 모델을 바탕으로 생명윤리의식의 의미와 구성요소들을 살펴보았는데 이를 위해 42명의 생명윤리 전문가 및 생명운동실천가를 대상으로 1차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응답을 바탕으로 총 71개의 범주 229개의 초기문항을 도출하였다. 이어 초기문항의 적절성을 묻는 2차 델파이를 실시한 결과 30명의 패널이 응답하였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3단계의 정제과정을 거쳐 총 86개의 1차 예비문항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이루어진 1차 설문조사는 서울, 경기, 충청, 경상, 전라권에 거주하는 대학생과 주로 가톨릭 재단 사회복지기관 및 시설에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지 550부를 배부 후 528부를 회수하였다. 이 결과를 탐색적 요인분석하여 문항의 요인구조를 밝혔는데 최종적으로 ‘생명의료윤리’ 요인, ‘생명존중윤리’ 요인, ‘생명공학윤리’ 요인, 총 3개의 요인 35개의 문항이 묶였다. [연구 3]에서는 [연구 1]과 [연구 2]의 척도 개발과정에서 밝혀진 3개의 하위요인 구조를 확인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도출된 본 문항에 기초한 설문지를 구성한 후 2차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는데, 이 때 공인타당도 평가를 위해 이영숙(1990)이 개발하고 권선주(2003)가 재구성한 생명윤리의식척도를 추가로 사용하였다. 2차 설문조사는 서울, 충청, 경상, 전라권에 거주하는 대학생과 주로 가톨릭 재단 사회복지기관 및 시설에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지 400부를 배부 후 371부를 회수하였고, 결과를 바탕으로 AMOS21.0을 이용하여 최대우도법을 사용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두 문항이 정제되어 최종 33문항이 구성되었다. 다음으로 구성타당도는 수렴타당도와 변별타당도를 통해 확보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평균분산추출(AVE)을 계산하여 수렴타당도를 검증하였고, AVE 값이 모두 .50이상으로 추출되었으며, 개념신뢰도 값 역시 모두 .7이상으로 추출됨으로써 수렴타당도가 검증되었다. 또한 변별타당도평가 결과 분산추출지수가 상관계수의 제곱(ø2)보다 크기 때문에 잠재변인들 사이에 타당성이 확보되었다. 끝으로 공인타당도 평가를 위해 권선주(2003)의 ‘생명의료윤리의식 척도’와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척도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든 변인의 평균이 p<.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관계를 나타냈고, 0.3이상 0.8미만의 상관계수를 보임으로써 생명윤리의식 척도의 유사척도에 관한 공인타당도가 확보되었다. 본 연구는 생명수호의 중요성을 늘 인식하면서도 생명윤리의식을 측정하는 척도 개발과 타당화 연구는 거의 찾아 볼 수 없었던 상황에서 어떤 변인들이 생명윤리의식을 높이는지 등을 고민할 때 객관적인 측정방법을 제시할 수 있으며, 사전-사후 검사를 통해 생명윤리교육의 효과성을 하위요소별로 입증하여 교육의 방향성을 재정립하고 질을 제고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다.
more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cale to measure Bioethics Awareness. This study originated from the fundamental question of how to look after our human life as a gift. We should aim at the fundamental goal of cherishing life within the Christian world view and personalism since human life is not the instrumental value, but the human life itself is the highest value that includes the purpose. To accomplish this goal, I conducted three researches. In Study 1, an exploratory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oncept of Bioethics Awareness, and a bioethical decision model was presented. In Study 2, this item was composed by Delphi method, the first ,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s well as in Study 3 the validity of the scale was verifi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econd . The research methods and the result of each research are as follows. In Study 1, the data which was analyzed as a heuristic study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were gathered/ through a collection of bio-related keywords, a focus group interview (FGI) and one-to-one interviews in order to establish a model of what decisions would normally be made when bioethical issues arise. For this purpose, first, 131 college students of health and welfare major were asked to write 4 to 6 keywords which were related to 'life' and ‘Bioethics Awareness’. Second, one-to-on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5 persons who were bioethics experts and doers of bioethics, .and one-to-on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6 college students who were interested in bioethics problems and doers of bioethics. Third, we discussed the components of Bioethics Awareness with the focus group /consisting of 8 experts and the focus group consisting of 8 college students. As a result, 828 concepts were extracted through bio - related keyword analysis and 179 concepts were extracted through interview contents analysis (a total of 1,007 concepts), and a bioethical decision model was developed by categorization. In Study 2, the meaning and components of Bioethics Awareness were examined based on the bioethical decision model developed in [Study 1]. For this purpose, the first Delphi survey was conducted on 42 persons who were bioethical experts and doers of bioethics and 229 initial items of 71 categories were derived based on the responses. Next, 30 panelists responded to the second Delphi survey about the appropriateness of the initial questions and total of 86 preliminary questions were obtained through three step of refinements based of these results. After that, the first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college students living in Seoul, Gyeonggi, Chungcheong, Gyungsang, Jeonra areas and mainly the workers in Catholic Foundation social welfare institutions and facilities, and 528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fter distributing 550 copies. Based on these results, the factor structure of the items was foun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finally, 35 items were tied to three factors: 'biomedical ethics', 'life respect ethics', and 'biotechnology ethics' factors. In Study 3,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ree sub-factor structures that were revealed in the course of the development of the scale of [Study 1] and [Study 2]. For this purpose, the questionnaires were constructed based on the extracted items and then the second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In this case, we used additional Bioethics Awareness Scale developed by Lee Young-Sook (1990) and reconstructed by Kwon Sun-ju (2003) to carry out a concurrent validity assessment. The second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college students living in Seoul, Chungcheong, Gyungsang, Jeonra areas and mainly the workers in Catholic Foundation social welfare institutions and facilities, and 371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fter distributing 400 copies. Based on the result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maximum likelihood method was performed with AMOS21.0. As a result, the two items were refined and the final 33 items were composed. Next, construct validity was obtained through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In this study, the convergent validity was verified by calculating the average variance extraction(AVE), and all the extracted AVE values were above .50, and Convergence validity was verified because the extracted conceptual confidence values were all above .7. In addition, the validity between the latent variables was secured since the variance extraction index is larger than the square of the correlation coefficient (ø2) with the results of evaluating the discriminant validity. Final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iomedical Ethics Awareness Scale' of Kwon Sun-ju (2003) and the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to evaluate the concurrent validity, the mean of all variabl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at p <.01 level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0.3 and less than 0.8 showed the concurrent validity of the similarity measure of the bioethical consciousness scale. Almost all people are always aware of the sanctity of life, but there are few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studies to measure the consciousness of bioethics. Under this circumstance, this study was able to provide an objective measure of what variables would increase the consciousness of bioethics and will help to reestablish the direction of education and improve quality of education by proving the effectiveness of bioethics education by sub - factors through pre and post test.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