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해외부동산펀드의 수익률 영향 요인에 관한 분석 : 수익률 영향 요인에 관한 분석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Return of Overseas Real Estate Fund Return : Focused on United States Micro-Economic Factors

초록/요약

우리나라의 1997년 외환위기 이후 부동산 간접투자가 법률적으로 제도화 되면서 리츠(REITs)와 부동산펀드(Real Estate Fund) 중점으로 우리나라의 부동산 간접투자는 활성화되었다. 부동산의 간접투자의 다양화로 인하여 국내부동산뿐만 아니라, 해외 부동산도 투자의 대상으로서 각광 받아오게 되었다. 2008년 금융위기 전후하여 아시아태평양지역, 남미, 북미 등 해외의 부동산으로 세계의 자금유동성이 이동하였다. 국내에서도 해외부동산에 투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해왔고, 특히 부동산펀드의 투자형태로 발달해왔다. 주로 해외에서 설립된 리츠나 부동산관련 회사에 재간접형으로 투자하는 방식이 주를 이루었 다. 최근에 이르러 임대형, 대출형, 파생상품형 등 펀드유형이 다양해졌고, 사모펀드에만 다소 집중되었던 해외부동산펀드가 공모펀드로도 많이 증가하여 개인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해외부동산펀드 수익률과 거시경제변수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목적으로 실증 분석하였다. 해외부동산펀드의 대용변수로 해외리츠펀드 중 글로벌리츠펀드와 아시아태평양리츠펀드의 2005년 5월부터 2017년 3월 현재까지의 월별 펀드수익률 자료를 활용하였고, 미국의 거시경제자료와 함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는 미국의 산업생산지수와 S&P Case-Shiller 주택가격지수, 상업용 부동산 가격지수의 영향은 모두 양(+)이었고, S&P500지수, 미국채 10년은 음(-)의 반응이었다. 이는 미국경제가 해외부동산의 수익에 미치는 영향이 큼을 알 수 있고, 미국의 경제기조와 국내경제는 밀접한 관계가 있음에 따라 국내 자금유동성의 방향을 추정할 수 있다. 그리고 국내투자자의 해외부동산투자에 미국의 거시경제변화는 유의할만한 기준이 된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의 결과를 해외부동산펀드 수익률의 주요한 영향요인은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존재함은 사실이다. 그러나 해외부동산펀드 관련한 다양한 선행 연구에 이어, 펀드수익률자료의 12년간 분석기간, 미국의 거시경제변수와의 상관관계 실증분석이 선행연구에서 개선한 차별점이고 국내의 해외 부동산 투자 및 운용 판단의 기준으로서 도움이 될 부분에서 긍정적인 의의가 있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