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신체 내부지각에 대한 자신감이 거짓 각성 피드백 후 기분 및 각성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teroceptive Confidence on Mood and Arousal in False Arousal Feedback Experiment

초록/요약

불안 및 불안장애로 고통 받는 사람들의 경우, 실제 신체 상태와는 다른 신체 증상을 호소하기도 한다. 이는 불안한 사람들이 자신의 불안과 관련된 신체 증상을 어떻게 경험하는지와 관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관적으로 각성을 경험하는 데 기여하는 인지적 요소로서 신체 감각에 대한 지각과 해석, 즉 내부지각(interoception)이라는 개념에 주목하였다. 특히 개인이 자신의 내부지각 능력에 대해 보이는 자신감(interoceptive confidence)이라는 내부지각의 주관적 요소가 불안한 상황에서 개인의 기분 및 각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70명의 대학생을 고 내부지각 자신감 집단(high interoceptive confidence group; HCG; n=32)과 저 내부지각 자신감 집단(low interoceptive confidence group; LCG; n=38)으로 구분하여 각성을 유도하였다. 이후 휴식을 취한 뒤에도 여전히 각성이 되었다는 거짓 피드백을 제시하여 거짓 피드백 제시 전후에 기분(긍정-부정 기분)과 각성(주관적 보고 및 평균 심박수)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유의미한 수준에 이르지는 않지만 기분에서 시점과 집단 간의 상호작용 경향성이 관찰되었다. 즉 LCG는 HCG에 비해 거짓 피드백을 제시 받은 후에 기분이 상대적으로 보다 긍정적으로 변화하는 양상을 보였다. 주관적 각성도 및 평균 심박수에서는 상호작용 효과가 관찰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예상과는 달리 내부지각 자신감이 개인의 기분 및 각성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이 미비하게 결과가 나온 이유에 대해 논의하였다. 또한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more

초록/요약

People suffering from anxiety often report somatic symptoms discrepant from the actual bodily state which is related to how anxious people experience their anxiety-related somatic symptoms. To understand this phenomenon, this study focused on investigating the role of interoception-the perception and interpretation of somatic signal- as a cognitive factor that contributes to experiencing arousal without evidence. In particular, this study explored how interoceptive confidence, the confidence in one’s interoceptive ability, affects participants’ mood and arousal state. Seventy under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and were separated into two groups: the high interoceptive confidence group (HCG; n=32) and the low interoceptive confidence group (LCG; n=38). After the arousal-inducing task, participants were instructed to relax and were given false feedback that they are still aroused. Changes in mood(positive/negative) and arousal(subjective/objective) both before and after the false-feedback experiment were measured. As a result, marginally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time and group was found. Specifically, LCG showed greater negative mood change after arousal-inducing task and greater positive mood change after the false feedback experiment than HCG. There were no significant interactions found in perceived arousal and mean heart rate. Possible reasons for the negative finding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with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