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초심상담자의 진로불안에 미치는 영향 : 사회비교경향성과 초심상담자 어려움의 매개효과

초록/요약

본 연구는 초심상담자들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사회비교경향성과 초심상담자 어려움을 매개하여 진로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탐색하였다. 상담 경력 3년 이내의 상담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총 204명의 초심상담자들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이중매개모형 분석을 위하여 SPSS Process Macro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상관분석 결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사회비교경향성, 초심상담자 어려움과 진로불안간의 상관이 모두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불안과의 관계에서 사회비교경향성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불안과의 관계에서 초심상담자 어려움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즉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이 부족할수록 초심상담자 어려움이 높아지고 진로불안도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불안과의 관계에서 사회비교경향성과 초심상담자 어려움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초심상담자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은 사회비교경향성을 높이고, 높은 사회비교경향성은 초심상담자의 어려움을 증가시켰으며 이는 결과적으로 진로불안을 더 크게 경험하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초심상담자들이 경험하는 진로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들을 제시하였고,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