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의 불안, 회피애착과 신체화의 관계 : 부정적 정서와 감정표현불능증의 매개효과
Relationship of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attachment and somatization: the mediation effect of negative affect and alexithymia
- 주제(키워드) 신체화 , 불안애착 , 회피애착 , 부정적 정서 , 감정표현불능증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장재홍
- 발행년도 2017
- 학위수여년월 2017.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심리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62196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불안, 회피애착과 신체화의 관계에서 부정적 정서 및 감정표현불능증 인지, 정서측면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만 18세 이상의 대학생 328명으로, 그들은 친밀 관계 경험-개정판(ECR-R), 신체증상 척도, 한국판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 척도(PANAS), 한국판 감정표현불능증 척도(K-BVAQ)에 응답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불안, 회피애착, 신체화, 부정적 정서, 감정표현불능증 인지측면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반면, 감정표현불능증의 정서측면은 회피애착과만 정적 상관을 보였고, 불안애착 및 부정적 정서와는 부적 상관을, 신체화와의 관계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매개분석 결과, 불안애착과 신체화 간의 관계를 감정표현불능증의 인지측면과 부정적 정서가 매개하였다. 반면 회피애착과 신체화 간의 관계는 부정적 정서만이 매개효과를 보였고, 감정표현불능증의 인지/정서 측면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의 의의와 한계, 그리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more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 of negative affect and cognitive, affective dimension of alexithymia upon the relationships of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attachment and somatization in a college sample. Participants were 328 college students who completed the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s-Revised(ECR-R), Somatic Symptom Inventory, The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Schedule(PANAS), and Korean Bermond-Vorst Alexithymia Questionnaire(K-BVAQ). In the correlation analysis,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attachment, somatization, negative affect, and cognitive dimension of alexithymia were intercorrelated. Affective dimension of alexithymia positively correlated only with avoidance attachment,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anxiety attachment and negative affect. The correlation between affective dimension of alexithymia and somatization was not significant. Multiple medi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of anxiety attachment and somatization was mediated by cognitive dimension of alexithymia and negative affect. The relationship of avoidance attachment and somatization was only mediated by negative affect, whereas the mediation effect of the cognitive/affective alexithymia dimension was not significant.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discusse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