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 결정 관련 모호함에 대한 인내력의 관계: 멘토링 기능에 의해 조절된 걱정의 매개 효과
The relation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Career Decision Ambiguity Tolerance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Worry and Mentoring Function
- 주제(키워드) 멘토링 기능 , 진로 결정 관련 모호함에 대한 인내력 ,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 걱정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연규진
- 발행년도 2017
- 학위수여년월 2017.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심리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62150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대학생들이 진로를 결정할 때 모호함을 견딜 수 있는 능력은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진로 결정과 관련된 모호함에 대한 인내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성격적 요인과 그러한 부정적 영향을 완화할 수 있는 요인을 탐색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에 따라 대학생들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 결정 관련 모호함에 대한 인내력의 관계에서 멘토링 기능에 의해 조절된 걱정의 매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대학생 382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을 통해 수집된 자료에 대해 SPSS 22와 PROCESS for SPSS 2.16.3을 활용하여 매개 효과, 조절 효과 및 조절된 매개 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은 걱정을 정적으로, 진로 결정 관련 모호함에 대한 인내력을 부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였으며, 걱정은 진로 결정 관련 모호함에 대한 인내력을 부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 결정 관련 모호함에 대한 인내력의 관계에서 걱정은 간접 매개 효과를 보였다. 걱정과 진로 결정 관련 모호함에 대한 인내력의 관계에서 멘토링 기능이 조절효과를 보였는데, 멘토링 기능 수준이 높을수록 걱정이 진로 결정 관련 모호함에 대한 인내력에 미치는 부적 영향이 감소되었다. 또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 결정 관련 모호함에 대한 인내력의 관계에서 멘토링 기능에 의해 조절된 걱정의 매개 효과가 확인되었다. 종합하면, 한국 대학생들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이 부족할수록 걱정을 많이 하게 됨으로써 진로 결정과 관련된 모호함을 견디기 어려워하게 되는데, 이러한 부정적 영향은 멘토링 기능 수준이 높을수록 줄어드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진로 상담 장면에서의 적용 가능성과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more초록/요약
Tolerance of ambiguity is very important when college students make a career decision. This study aimed at exploring a trait factor having a negative effect on career decision ambiguity tolerance, and a factor alleviating this negative effect. Accordingly,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worry and mentoring function on the relation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career decision ambiguity tolerance. A sample of 382 college students completed self-report questionnaires. SPSS 22 and PROCESS for SPSS 2.16.3 were used to test a mediation effect, a moderation effect, and a moderated mediation effect.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Intolerance of uncertainty positively, significantly predicted worry, and negatively, significantly predicted career decision ambiguity tolerance. Worry negatively, significantly predicted career decision ambiguity tolerance. Worry had a significant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career decision ambiguity tolerance. The moderating effect of mentoring function on the relation between worry and career decision ambiguity tolerance was significant. The result suggested that the higher mentoring function is, the lower the negative effect of worry on career decision ambiguity tolerance is. Also, a mentoring function moderated the mediation effect of worry on the relation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career decision ambiguity tolerance. In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indicated that Korean college students have a difficulty in enduring career decision ambiguity when they worry more due to their lower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this negative effect decreased when the mentoring function is high. Based on findings, the implication of the current finding in counseling practic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