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헤테로토피아 개념으로 본 탈북 디아스포라 영화 연구

Analysis of North Korean Refugee Diaspora in Films with Emphasis on the Concept of Heterotopia

초록/요약

본 연구는 상업 영화 <국경의 남쪽>, <의형제>, 독립 영화 <처음 만난 사람들>, <무산일기> 등을 중심으로 한국 영화의 탈북자 재현 양상에 담긴 함의를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디아스포라 이론과 헤테로토피아 개념을 토대로 혼종적인 탈북자들의 정체성이 민족주의나 국가주의 담론과 만나는 지점들을 분석해 보았다. 각 영화의 서사구조 분석을 통해 탈북자의 정체성이 일으키는 갈등과 해결되는 방식을 살펴보고 남도 북도 아닌 제 3의 공간, 헤테로토피아를 분석함으로써 영화 속 탈북 디아스포라 서사가 국가 담론에 어떠한 기능을 하는지 밝혀보았다. 분석 결과, 상업 영화는 탈북 디아스포라를 우리와 노스탤지어를 공유한 ‘가족’이나 ‘형제’ 등 한민족으로 포섭함으로써 민족주의를 강화하는 양상이, 독립 영화에서는 불안정한 탈북자들의 위치를 가시화함으로써 민족주의의 허구성을 제기하는 모습이 발견되었다. 탈북자들을 수용하면서도 배제하는 ‘열림과 닫힘의 헤테로토피아’는 한국이 자유주의 사회임을 천명하면서도 탈북자를 안전하게 관리하는 건재한 국가 정체성을 형성한다. 이러한 열림과 닫힘의 헤테로토피아는 상업 영화에서는 자연화된 방식으로, 독립 영화에서는 전경화된 방식으로 나타난다. 반면 남/북 대립이 무화되는 ‘저항의 헤테로토피아’는 상업 영화에서는 남과 북의 한시적인 연대를 통해 탈이데올로기적인 탈주의 시도로 나타나고 독립 영화에서는 탈북자 혹은 다른 디아스포라와 같은 소수자끼리의 연대를 통해 탈민족주의적인 양상으로 표현된다. 저항의 헤테로토피아는 이렇듯 기존의 권력 질서에 反공간으로 존재하다가도 영화의 결말에서 소멸되는 모습들이 발견되었다. 영화들은 전반적으로 탈북자들을 한국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는 연민의 대상으로 묘사하고 있으며 결말에서 탈북자들을 제 3의 공간으로 밀어내는, ‘상징적 소멸(symbolic annihilation)’의 서사적 전략으로 흔들린 균형을 바로 잡는다. 이렇듯 본 연구는 국내 탈북 디아스포라 영화들이 제작 주체와 무관하게 결말을 통해 탈북자들을 주변인으로 위치시킴으로써 남한 사람들로만 구성된 ‘한민족’, 견고한 국민국가의 장벽을 재구축하는 방향으로 귀결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brings light on the meanings of the representations of North Korean refugees in South Korean films; with specific emphasis on the commercial films including <South Of The Border>, <Secret Reunion> and the independent films such as <Hello, Stranger>, <The Journals Of Musan>. In due course, this study visits theories of diaspora and heterotopia in order to analyse how the hybrid identity of the NK refugees is formed in relation to Nationalism. Narrative analysis on each films reveals conflicts within the NK refugees' identity and how they are resolved. Also, analysis on heterotopia, the tertiary space that is neither North nor South Korea, elucidates the impact of the diaspora narrative of NK refugee films on the national discourse.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is study finds that the commercial film empowers ethnicism by embracing NK refugee diaspora as the 'family' or the 'brother' who shares the nostalgia with South Koreans, and that the independent film raises doubt on the make-believe nationalism by exposing the fragile status of NK refugees. This theme of heterotopia as a space 'both open and closed' discloses the national identity where South Korea enjoys its status as a free nation whilst boasting itself of being capable of sufficiently managing NK refugees. This heterotopia as a space 'both open and closed' presents in films in different modes; naturalized in the commercial films, foregrounded in the independent films. On the other hand, heterotopia of resistance where the conflict between North and South bounds to nihility, is expressed in the attempts of post-ideologic defiance from temporal solidarity between North and South in commercial films, and in the modes of 'de-ethnicism' from the solidarity between the minorities encompassing NK refugees and other diasporas in independent films. The heterotopia of resistance thus exists as anti-space to the existing power formation, but then ceases to the end in the conclusion of the films. The films in general depicts NK refugees as the subjects of pity and compassion who cannot adapt themselves to South Korea. It is in this sense they take the narrative strategy of 'symbolic annihilation' by driving the NK refugees out into the tertiary space in the conclusion as metaphors of re-balancing the faltered equilibrium. Hence this study discovers the tendency of the South-korean NK refugee diaspora films, regardless of their production types, to locate NK refugees as marginal subjects in order to enforce the entrenched nationalism and the ethnicism of 'Korean' constructed only by South Korean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