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생의 완벽주의와 학업소진의 관계에서 자기위로능력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s to soothing ability on the relation between perfectionism and academic burnout of high school students
- 주제(키워드) 자기지향 완벽주의 , 사회부과 완벽주의 , 학업소진 , 자기위로능력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이창환
- 발행년도 2017
- 학위수여년월 2017.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62040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완벽주의와 학업소진의 관계에서 자기위로능력이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특히 고등학생의 완벽주의를 두 가지 차원 즉,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사회부과 완벽주의로 나누어 각각의 완벽주의와 자기위로능력이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지역 인문계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세 변인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자기위로능력과 학업소진은 부적인 상관이 있었다.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학업소진은 부적상관,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자기위로능력은 정적 상관이 있었다. 그리고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학업소진은 정적상관,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자기위로능력은 부적상관이 있었다. 둘째, 완벽주의 및 자기위로능력이 학업소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단순회귀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학업소진에 영향을 미쳤으며, 이들의 영향력은 각기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기지향 완벽주의가 높을수록 학업소진이 낮아지고,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높을수록 학업소진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스스로 높은 기준을 부여하고 완벽해지기 위한 성향을 가진 학생들은 수행의 실패나 상대방의 비난으로부터는 자유롭기 때문에 학업으로 인한 소진을 덜 겪지만, 의미 있는 타인이 자신에게 높은 기준을 설정하고, 엄격하게 평가하며 자신에게 완벽해지도록 압력을 가한다고 생각하는 학생들은 학업소진을 높게 경험하고, 탈진, 냉소, 그리고 무능감을 겪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자기위로능력도 학업소진에 영향을 미쳤는데, 자기위로능력이 높을수록 학업소진을 덜 겪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완벽주의가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자기위로능력이 조절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사회부과 완벽주의 모두에서 자기위로능력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자기지향 완벽주의는 학업소진에 적응적인 기제로,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부적응적인 기제임을 확인하였으며, 자기위로능력이 완벽주의와 학업소진의 관계에서 완충역할을 한다는 연구 결과를 통해서, 정서적 안정감을 갖기 위한 대처 자원으로 자기위로능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불어, 자기위로능력은 후천적으로 개발 가능한 내적 자원이기 때문에 학교현장에서 자기위로능력을 신장시켜 줄 수 있는 상담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또한 자기위로능력이 타인과 긍정적 상호작용을 통해서 발달 될 수 있기 때문에 무엇보다 상담자의 지지와 공감, 수용적 태도가 중요하다고 제안하였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