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마스아퀴나스의 분유개념을 통해 바라본 신의 속성
- 주제(키워드) 토마스 아퀴나스 , 분유개념 , 신의 속성 , 형이상학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 지도교수 이종진
- 발행년도 2017
- 학위수여년월 2017.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신학대학원 철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61553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ABSTRACT The attributes of God based on the concept of Thomas Aquinas' participation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deeper understanding of God, the creator of the universe by investigating Thomas’s understanding of participation. Since participation in Thomas Aquinas is a critically synthesized concept that is inherited from ancient philosophers, it is necessary to scrutinize how Aquinas’s predecessors understand it in order to grasp Thomistic participation. Plato is famous for his two worlds theory, the world of ideas and the sensible world by arguing that the sensible world is an imperfect copy of the world of Form that is the most accurate reality. He was able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emplar and image, and transcendence and immanence. However, Plato’s theory of Forms fails to explain the change and exercise. Aristotle, therefore, criticizes Plato and argues that the particulars of the sensible world, which is the compound of matter and form, is the most real beings. He elaborates his own theory of causality that he bases on potentiality and actuality to explain the process of generation, change and destruction. However, Aristotle seems to accept the large part of Plato‘s theory of Forms when he comes to the explanation of pure form or the first cause. After Plato and Aristotle, Plotinus synthesizes Plato’s theory of Forms with Aristotle’s causality and develops his famous theory of Emanation which explains the principles of the world excellently. However, this theory has no room for free will of the One, the simple first principle of all, and fails to explain its perfection. Finally, Thomas Aquinas synthesizes Platonic participation with Aristotle's theory of causality and formulates his own concept of participation. That is to say, Thomisitc participation is based on Plato’s understanding of transcendence and immanence and Aristotle’s causality. According to Thomas, God who is being itself is not the only cause of all beings but is also the ultimate perfection of being. Therefore, every finite being participates in God in order to exist, and Thomisitic participation plays a vital role in the expla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s the creator of all things and creature; since every being of the sensible world participates in God, we can grasp the attributes of God by understanding the created beings. More specifically, there are three things that we can learn from Thomistic participation. (i) The attributes of God; God is Himself oneness, truth, goodness, and beauty. (ii) Personal God; Since we are particular substances with intellect and free will, we can effectively say that God is personal likewise. (iii) The order of being; we can grasp the order of being in which God is the highest order. The investigation of the attributes of God, who is being itself that all beings of this world participates in, may be the thought provoking idea for those who live in a relative world because understanding the absolute truth is required to have a solid foundation for the relative truth. Therefore, with this study of Thomisitc participation, I will look forward to improving the weakness of science and positivism and having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world and the human being.
more초록/요약
국문 초록 토마스 아퀴나스의 분유개념을 통해 바라본 신의 속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분유개념은 고대로부터 이어져오는 분유개념을 비판적으로 종합한 개념이다. 그러므로 토마스 아퀴나스의 분유개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고대로부터 이어져오는 분유개념을 이해해야만 한다. 그리고 이러한 이해를 통해 우리는 세상을 창조한 신에 대한 지식에 한 발 더 나아갈 수 있는 단초를 발견할 수 있다. 고대의 플라톤은 현상계의 사물들이 생성·변화·소멸하는 현상을 바라보며 현상계의 사물들이 궁극적인 실재가 아님을 인식한 가운데 개별적인 존재자들을 존재하게 하는 진정한 실재, 이데아의 세계에 대한 사유를 제시한다. 이러한 이데아계와 현상계의 관계는 원형과 모사의 관계, 초월과 내재의 관계를 형성하며 이 세상의 원리에 대한 해석을 제시한다. 하지만 플라톤은 이 세상이 지닌 운동과 변화의 원리에 대한 해명은 제시하지 못한 채 한계의 부딪히고 만다. 한편 아리스토텔레스는 이데아론을 비판하며 진정한 실체는 모호한 이데아계가 아니라 현상계의 개별자임을 주장한다. 이 세상의 개별자야 말로 진정한 형상과 질료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진정한 실재이며, 이러한 개별자는 인과율 안에서 현실태와 가능태의 원리를 통해 생성, 변화 소멸하게 된다는 원리를 제시한다. 하지만 제1원인이라고 할 수 있는 순수형상에 대한 설명에서 자신이 비판하였던 플라톤의 이데아론에 회귀하는 모습을 보이고 만다. 이러한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세상의 원리에 대한 사유를 이어받은 플로티누스는 이를 종합하여 세상이 창조된 원리를 탁월하게 설명한 유출설을 제시하지만, 자유원인을 가지지 못한 일자의 필연적인 유출의 한계 때문에 일자의 자유의지와 그에 걸 맞는 완전성을 확보하지 못하는 한계에 부딪히고 만다. 중세의 토마스 아퀴나스는 신에 대한 피조물의 분유를 설명하기 위해 플라톤의 분유개념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인과론을 비판적으로 종합하여 자신 만의 분유 개념을 제시하는데, 이러한 분유개념은 플라톤이 분유개념을 통해 제시한 ‘초월과 내재’와 아리스토텔레스의 인과율을 종합한 개념으로서 신은 모든 존재자들의 존재원인임과 동시에 존재 그 자체로서 존재의 궁극적인 완전성을 소유한다. 따라서 이 세상의 피조물들은 신으로부터 존재를 분유하여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만물의 원인자로서의 신과 이 세상의 피조물들 사이에 펼쳐지는 관계는 인과론적 분유개념으로 명명할 수 있으며, 이 개념은 신플라톤주의의 한계를 뛰어넘어 자유원인자로서 세상을 창조한 신에 대한 지식을 더욱 탁월하게 향유할 수 있도록 우리를 안내한다. 이러한 토마스의 인과론적인 분유개념을 통해 우리는 창조된 세상의 피조물들이 지닌 완전성으로부터 궁극적인 완전자인 신의 속성을 파악할 수 있다. 분유개념을 통해 바라본 신의 속성은 이 세상의 존재자들에 대한 경험과 동시에 형이상학적인 사고를 통해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이러한 논증은 분유개념이 가지고 있는 초월과 내재, 인과성의 개념들로 실현이 가능하다. 우리는 세상의 피조물들이 분유하고 있는 완전성을 바탕으로 신이 지닌 궁극적인 완전성을 파악할 수 있고 이 세상의 피조물들의 현실화의 원리인 존재와 본질의 합성이라는 체계 하에서 무한한 존재를 지닌 신의 무한성과 영원성을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신은 가장 단순하고 단일하며, 참되고, 선하고, 아름답다. 아울러 개별적 실체로서 이성과 의지를 가지고 인식과 아울러 자유로운 행위를 하는 자주체의 의미로 가장 완전한 신의 인격성을 파악한다. 이러한 토마스의 형이상학을 바탕으로 한 인과론적 분유개념은 이 세상 존재자들이 질서를 가지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이러한 질서의 최상의 존재는 바로 존재 그 자체인 신이다. 이와 같은 피조물이 분유하고 있는 존재 자체인 신의 속성에 대한 탐구는 다원화되고, 상대화된 세상을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궁극적인 진리를 향한 열망을 일으켜 줄 수 있는 사고이다. 절대적인 진리 하에 상대적인 진리가 가능하고 이러한 진리에 대한 열망은 세상을 더욱 긍정적이고 선하게 이해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현대 사회의 과학주의, 실증주의의 한계를 보완하고 더 깊은 세상과 인간에 대한 이해로 나아가고자 한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