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숙인의 자활사업 경험에 관한 연구 : A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s of Self-Sufficiency Service of the Homelessness
- 주제(키워드) 노숙인 , 질적 연구 , 현상학 , 자활사업 , 대면서비스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 지도교수 이기연
- 발행년도 2017
- 학위수여년월 2017.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공공정책대학원 사회복지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61545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는 노숙인 자활사업 참여자 중 대면서비스 제공 자활사업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현상학적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해 그들의 스스로 느끼는 자활사업 경험에 귀를 기울이고 그 본질의 의미를 밝혀 이들의 경험에 대한 진술을 통해 실천적 이해를 확장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노숙인의 자활사업 경험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눈덩이 표집방법(Snowball Sampling)을 사용하여 연구참여자들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참여자로는 노숙인 자활 참여자 중 대면서비스 제공 자활사업 참여자로서 1년 이상 지속하고 있는 노숙인 5명이다. 자료의 수집 방법으로는 심층면담을 사용하였고, 이를 녹취록으로 옮겨 본 연구의 주요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6년 5월부터 시작하여 2016년 12월까지 진행되었다. 자료분석은 밴 매년(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분석하였고, 의미 있는 진술에서 핵심어와 주제를 도출하고 주제에서 본질적 주제로 드러내었다. 연구결과로는 먼저 157개의 핵심어를 분석하여 24개의 주제를 도출하였다. 노숙인의 자활사업 참여 경험에 대한 주제로는 ‘어두운 그림자’, ‘벼랑끝으로 내몰림’, ‘나락으로 떨어짐’, ‘유기된 나’, ‘빚의 굴레’, ‘중독의 심화’, ‘책임 없는 삶’,‘매서운 생존’, ‘단순한 일자리’, ‘동아줄’, ‘자리잡기’, ‘불확실한 미래’, ‘신앙의 힘’, ‘전환점’, ‘도움닫기’, ‘“노숙인”이라는 이름’, ‘다시서기’, ‘홀로서기’, ‘봄을 위한 준비’, ‘기댈 수 있는 언덕’, ‘인정받음’, ‘따스한 행복’, ‘연결의 힘’, ‘“고양이의 보은”’으로 도출되었다. 추상화된 24개의 주제를 조망하는 과정에서 “등대”라는 단어로 현상학적 환원이 이루어졌고, 노숙인의 자활사업 경험을 <난파선>, <바다 위의 표류>, <등대의 발견>, <등대를 향한 항해>, <나를 비추는 등대>, <세상을 밝혀주는 등대> 6개의 본질적 주제로 결정하였고 다시 본질적 주제를 “새로운 꿈을 향한 과정”으로 함축할 수 있었다. 또한 연구자가 6개의 본질적 주제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노숙인의 자활사업 경험에서 노숙인의 자립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꾸준한 일거리’와 ‘지지자원’ 그리고 노숙인의 ‘내면의 변화’가 발견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연구자는 아래와 같은 연구의 논의, 사회복지적 함의, 한계와 제언을 언급하였다. 본 연구의 논의로는 노숙인의 자활사업에 경험에 있어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노숙인 주변의 지지체계, 지속적인 자활사업과 노숙인의 내면의 변화와 같은 핵심적인 요인들이 탈노숙이나 사회복귀 및 인문교육에 대한 선행연구들의 결과와 일치하거나 일부 상관성이 있음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노숙인이 노숙 이전의 경험과 노숙의 경험 그리고 자활사업 경험에 이르기까지 시간성에 따라 자신의 삶의 굴곡을 경험하면서 노숙에서 임대주택이라는 공간성의 변화, 혼자이던 삶에서 가족, 동료, 기관 사회복지사, 손님 등 지지자원이 갖춰진 관계성의 변화, 술과 담배 그리고 도박의 중독에서 벗어난 신체성의 변화, 급여의 저축이나 집을 얻음으로 해서 자신의 물건이 하나씩 늘어나는 물질성의 변화, SNS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다른 이들과 관계를 맺거나 홍보를 하게 되는 과학기술의 경험으로 확장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사회복지적 함의로는 첫째, 연구참여자들은 자활사업으로 단순히 하라는 대로 일하기 보다는 사진 촬영과 같이 창의적인 질 높은 일자리를 요청하고 있다는 점에서 노숙인의 자활사업에 대한 이해와 새로운 관점을 제시할 수 있었다. 둘째, 병원을 퇴원한 환자도 아직 환자인 것처럼 비록 자립을 하였더라도 완전한 홀로서기가 이루어지기까지는 아직 노숙인으로 존재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노숙인에 대한 이해의 확장은 임대주택 거주 노숙인에 대한 면밀한 사례관리에 대한 필요성을 언급함과 동시에 추후 사회복지 실천에 있어 좋은 기초 자료로 활용 될 수 있다. 셋째, 서울시와의 계약이 종료되는 순간 자활사업 참여자들은 오갈 데가 없어지는 상황이 되어버린다. 서울시에서 협력사업을 진행할 때 계약 기간 후에도 일정기간 동안 협약 기관에서 이들이 완전히 자립을 이룰 때 까지 책임질 수 있도록 하는 정책의 변화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가 노숙인의 입장을 고려한 자활사업 정책을 개발하는 데 좋은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고 할 수 있다. 넷째, 내면의 변화를 이루기 위해 인문학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영화 제작, 뮤지컬, 발레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들이 운영되기를 바라고 있다. 노숙인에 대한 실천의 확장에 있어 노숙인의 입장을 고려한 구체적인 자료로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한계로는 학력이 대졸 이상과 무학으로의 심한 편차와 남성 중심의 대상자 선정의 한계가 있었고, 본 연구자가 노숙인 관련 전문가가 아니었다는 점에서 노숙인의 증언을 충분히 담아내기 위해 질문과 삼각검증을 통해 확인하는 절차를 거쳤지만 더욱 풍부하고 깊은 이해까지 도달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의 제언으로는 ‘지속적인 자활사업이 이루어 질 수 있는 연계 서비스의 제공’. ‘지지자원의 형성을 위해 동료지지도를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들 개발’, ‘노숙인의 내면의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한 계기를 마련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들의 개발 및 운영’을 제시하였다.
more초록/요약
This study uses phenomenology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ho is aimed at the participants of the face-to-face serveice amomg self-sufficiency service for homeless, to listen to their self-sufficiency service experiences and intends to expand practical understanding through the statements of their experiences. This study used Snowball sampling to identify the meaning of experience in self-sufficiency service of homeles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ho were participating in of the face-to-face service for a year or more, amomg self-sufficiency service. I used in-depth interviews and voice recordings as a method of collecting the data, and transferred it to the transcripts and used it as the main analysis data of this study. Data collection began in May 2016 and lasted until December 2016. Data analysis used hermeneutical phenomenological method of Max van Manen. The researcher derives keywords and themes from meaningful statements and revealed themes as essential theme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158 keywords were analyzed and 24 themes were isolated. This themes are uncoverd from the participated self-sufficiency service for homeless: Dark shadow, Driven to the edge of a cliff, Fall down into hell, Organized me, The bridle of debt, Deepening addiction, Irresponsible life, Fierce struggle, Simple works, The rope of life, Settling in job, An uncertain future, Power of Faith, Turning point, Running start, The name of Homeless, Re-stand, Standing alone, Preparation for spring, A dependable hill, Affirmed for people, Warm happiness, Power of connection, The Cat Returns. In the process of uncovering 24 subjects, was done through phenomenological reduction to "lighthouse". And self-sufficiency service for homeless was determined as six essential themes: <Shipwreck>, <Drift on the sea>, <Discovery of the lighthouse>, <Navigation to the lighthouse>, <Lighthouse to illuminate me> and <Lighthouse to illuminate the world>. And I implied the essential theme as "A process toward a new dream". Also I find in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at six essential themes ‘'A steady job', 'Supportive resource' and 'inner change' of the homeless, that float to the main positive factor in the experience of self-sufficiency service for homel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 mentioned the following discussion, implications for social welfare and suggestions. I discuss in this study, the key factors such as the supportive system around the homeless, the continuous self-sufficiency service and the internal changes of the homeless, which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experience of the homeless, are consistent with results of the preceding studies on decentralization and social reintegration and human educ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correlation. In addition, I confirm that the homeless are experiencing to the bending of their life according to temporality from pre-homeless, homeless and to the self-sufficiency service, with the change of spatiality that rented house in the street, with the change of relationality that family, co-workers, agency social workers, and guests in a single life, with the change of corporialrity that off the alcohol, tobacco, and gambling addiction, with the change of materiality that one's own goods grows by the saving of the salary or the house, with the experiencing Thechnology that actively uses SNS to engage with others and promote it. In addition, the social welfare implications of this study. First the study participants were able to present a new perspective and understanding of self-sufficiency service of homeless, instead of simply asking for self-sufficiency service, they are asking for creative, high-quality jobs such as photography. Second, patients discharged from hospitals are still patients. Even if they are self-reliant, they still remain as homeless until complete holism is achieved. This extension of the understanding about the homeless mentions the necessity of careful case management for the homeless residing in the rental housing and can be used as a good basic data for future of practice of social welfare. Third, as soon as the contract with the Seoul government is over, participants in the self-sufficiency service become lost. The Seoul government needs to change its policies so that it can be held responsible for a period of time after the contract period, until the contracting organizations are fully self-reliant. Therefore, this study provides good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he self-sufficiency service policy considering the position of the homeless. Fourth,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humanities program in order to achieve the inner change of the homeless. They hope to have a variety of programs, including filmmaking, musicals and ballet. This study can be used as concrete data considering the position of the homeless in expanding the practice for the homeles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that there was a severe deviation from college graduation and no schooling. Although I am not an expert related to the homeless, the procedure was confirmed through questioning and triangulation verification to fully capture the statements of the homeless person, but there was a limit to reach richer and deeper understanding. Nevertheless the process of verifying through triangulation in order to fully capture the statements of the homeless, there was a limit to reaching a richer and deeper understanding. I propose by this study, 'Providing a linkage service that enables continuous self-sufficiency service for homeless’, 'Developing programs to increase peer support for the formation of supportive resources', and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various programs to create opportunities for internal change of the homeles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