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personality and interpersonal needs in predicting current suicide ideation
성격특성 및 대인관계 욕구의 상호작용이 자살 사고에 미치는 영향
- 주제(키워드) Sociotropy , Autonomy , Thwarted Belongingness , Perceived Burdensomeness , The Interpersonal Psychological Theory of Suicide , Suicide Ideation , 사회지향성 , 관계지향성 , 좌절된 소속감 , 인식된 짐스러움 , 자살에 대한 인관계 심리학적 이론 , 자살 사고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김향숙
- 발행년도 2017
- 학위수여년월 2017.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심리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61542
- 본문언어 영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While suicide poses an imminent threat against the global health, Joiner's Interpersonal Psychological Theory of Suicide has been gaining increased empirical support as a comprehensive theory of suicidal behavior. The theory posits that death by suicide occurs when the desire to commit suicide and the ability to transfer it into action are present simultaneously (Joiner, 2005; Van Orden et al., 2010). More specifically, the desire for suicide is composed of two interpersonal needs: thwarted belongingness and perceived burdensomeness. Many researches have compared its constructs with findings of previous researches, yet only a few have examined the individual differences that might variate its manifestations. Therefore,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interaction between personality configurations and constructs of suicide desire (i.e. interpersonal needs) in predicting current suicide ideation. In particular, two types of personality configurations, sociotropy and autonomy, that have been warranted as vulnerabilities of depression, were of interest. We hypothesized that sociotropy would interact with thwarted belongingness to predict current suicide ideation, and that autonomy would interact with perceived burdensomeness to predict current suicide ideation. The current study was conducted on undergraduate students from a university located in Seoul, Korea. In the preliminary stage, we first examined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Interpersonal Needs Questionnaire, which was developed to measure constructs of suicide desire. Results indicated a two-factor model with excellent fit. However, a single item that loaded on thwarted belongingness in the original study, crossloaded on both factors. Implications are discussed from a cultural perspective. Then, we examined our main topic of interest. Results indicated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sociotropy and thwarted belongingness, and autonomy and perceived burdensomeness. However, sociotropy rather demonstrated itself as a protective factor for suicide ideation in the presence of thwarted belongingness. Clinical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ill be discussed.
more초록/요약
자살의 대인관계 심리학적 이론에 따르면 (Joiner 2005; Van Orden et al., 2010), 자살에 대한 욕구와 자살을 할 수 있는 능력이 동반될 때, 자살에 따른 죽음으로 이어지게 된다. 또한 자살에 대한 욕구는 좌절된 소속감과 인식된 짐스러움이라는 대인관계 욕구를 주된 내용으로 하며, 선행 연구를 통해 이를 지지하는 경험적 증거들이 축적되고 있다. 반면 자살에 대한 욕구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의 취약성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바, 본 연구에서는 우울과 관련된 개인의 성격 특성 즉 사회지향성과 자율지향성에 주목하여 대인관계 욕구와의 상호작용이 자살 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예비 연구를 통해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대인관계 욕구를 측정하기 위한 대인관계욕구척도를 타당화 하였다. 그 결과 원 척도와 마찬가지로 2요인으로 적합하게 추출되었으며, 모형 적합도 또한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원척도에서 좌절된 소속감에 속했던 12번 문항의 경우, 본 연구에서는 두 요인에 동일하게 부하 하는 것으로 나타나, 문화에 따른 요인 구조의 차이의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후 본 연구의 주 관심인 성격 특성과 대인관계 욕구의 상호작용이 자살 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대학생을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사회지향성 및 좌절된 소속감, 그리고 자율지향성 및 인식된 짐스러움에서 예상한대로 유의미한 상호작용 효과를 보였다. 즉 인식된 짐스러움을 경험할 때 자율지향성은 자살에 대한 취약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그러나 좌절된 소속감을 경험할 때 사회지향성은 자살에 대한 취약 요인이 아닌 보호 요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한계 그리고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