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상호작용이 우울한 대학생의 자존감 변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Social Interaction on Self-Esteem Variability of Depressive College Students
- 주제(키워드) 우울 , 사회적 상호작용 , 자존감 변동성 , 사회지향성 , 자율지향성 , 경험표집법 , depression , social interaction , self-esteem variability , sociotrophy , autonomy , experience sampling method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김향숙
- 발행년도 2017
- 학위수여년월 2017.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심리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61539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에서는 경험표집법을 실시하여 우울한 개인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자존감 변동성 간의 관련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나아가 우울한 개인의 성격특성에 따라 사회적 상호작용 경험이 자존감 변동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지 여부에 대해서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참가자를 우울집단(23명: BDI-II≥16)과 비우울집단(24명: BDI≤9)으로 구분하고, 하루에 5번, 7일에 걸쳐 사회적 상호작용 경험, 상태 자존감 및 정서상태를 측정하였다. 독립표본 t검증과 위계적 회귀모형을 통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울집단은 비우울집단보다 자존감 수준이 유의미하게 낮았으며, 자존감 변동성은 유의미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상호작용의 유무,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경험한 전반적 만족감이 자존감 변동에 영향을 미쳤으며, 이 중 전반적 만족감과 자존감 변동의 관계를 우울 증상이 유의미하게 조절하였다. 셋째,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경험한 소속감과 영향력이 자존감 변동에 영향을 미치고 그 관계를 우울 증상이 유의미하게 조절하였다. 다만, 정서의 유인가 및 각성가를 모두 통제했을 경우에는 영향력만이 자존감 변동과의 관계가 유의미했고, 이를 우울 증상의 유무가 조절하였다. 넷째, 성격에 따른 우울의 두 유형 중 사회지향형인 우울 집단이 자율지향형인 우울 집단보다 더 높은 수준의 소속감, 영향력이 자존감 변동에 미치는 영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결과가 갖는 의의와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more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cial interaction on self-esteem variability, and the moderation effect of depressive symptoms. Additionally, this study examined if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interaction and self-esteem variability would be affected by personality configuration of depression: sociotrophy and autonomy. For this purpose, the social interaction experience, state self-esteem and emotional states were assessed for seven days, five times a day using the experience sampling method (ESM). Participants were allocated to two groups, the depressive group (n=23: BDI-II≥16) and the non-depressive group (n=24: BDI≤9). The results analyzed by the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the hierarchical regression model are as follows: First, the depressive group had significantly lower self-esteem levels and higher self-esteem variability than the non-depressive group. Second, the presence of social interaction and the overall satisfaction experienced in social interaction affected self-esteem variability and depressive symptoms significant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Third, the sense of belonging and the sense of importance experienced in social interaction affected self-esteem variability, and the relationship was significantly moderated by depressive symptoms. However, when the valence and the arousal level of affect were controlled, on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nse of importance with self-esteem variability was significant, and the relationship was moderated by the presence of depressive symptom. Fourth, sociotrophic personality put more influenc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e of belongingness and importance and self-esteem variability compared to autonomy-oriented personality. Finally,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with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