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성소수자(LGB)의 공동체 의식, 긍정적 정체성과 정신적 웰빙 간의 관계 : 소수자 스트레스 대처 전략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Sense of LGBT Community and Lesbian, Gay, and Bisexual Positive Identity on Wellbeing of Lesbian, Gay, and Bisexual Adults in Korea: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 of Minority Stress Coping Strategies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성소수자 공동체 의식과 동성애자/양성애자 긍정적 정체성이 소수자 스트레스 대처 전략으로써 사회적 지지 추구 대처, 문제해결 중심 대처, 회피 중심 대처를 매개하여 정신적 웰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설명한 이론적 모형을 경험적으로 탐색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온라인 성소수자 커뮤니티와 사회 관계망 서비스(SNS)를 통해 한국 국적을 가지고 한국에서 살고 있는, 양성애자, 동성애자로 스스로 정체화한 만 18세 이상 성인 여성, 남성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937명(여성 양성애자, n=205; 여성 동성애자, n=168; 남성 양성애자, n=175; 남성 동성애자, n=389)이 연구대상으로 선정되었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위하여 Mplus 6.12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먼저 측정 모형에 확인적 요인 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형 적합도가 양호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경로 분석을 위해 부분매개모형인 연구모형 1과 완전매개모형인 연구모형 2를 설정하였으며, 부분매개모형인 연구모형 1이 최종 모형으로 선택하였다. 성소수자 공동체 의식과 동성애자/양성애자 긍정적 정체성은 사회적 지지 추구 대처, 문제해결 중심 대처에 정적인 영향을 나타냈고, 또한 성소수자 공동체 의식은 정신적 웰빙에도 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또한 정신적 웰빙에 문제해결 중심 대처가 정적인 영향을 회피 중심 대처는 부적인 영향을 주었다. 부트스트래핑 방법으로 간접효과 검정을 한 결과 성소수자 공동체 의식과 동성애자/양성애자 긍정적 정체성이 문제해결 중심 대처를 거쳐 정신적 웰빙에 미치는 정적인 간접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성별 및 성적 지향에 따른 네 집단 간의 다집단 분석을 실시한 결과, 동성애자/양성애자 긍정적 정체성에서 문제해결 중심 대처으로 이어진 경로가 집단 간 차이를 나타냈고, 이 경로에서 남성 양성애자/동성애자는 정적 영향을 보였으나, 여성 양성애자/동성애자는 그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실천적 함의에 대해 기술하였고,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sense of LGBT community (PSOC-LGBT) and lesbian, gay, bisexual positive identity (K-LGB-PIM) on well-being (K-MHC-SF) of lesbian, gay, and bisexual Korean adults. Also the mediating role of minority stress coping strategies (i.e., social seeking coping strategy, problem solving coping strategy, avoidance coping strategy) was examined. For this purpos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participants who self-identified as lesbian, gay, or bisexual aged 18 or over. The online survey was distributed through online lesbian and gay communities and social networking platforms. A total of 937 respon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168 lesbians, 389 gay men, 205 bisexual women, 175 bisexual men. Data was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Mplus 6.12. The model fit of measurement model was adequate and two structural models were specified as Model 1 and 2 with the assumption of a partial mediating effect an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Model 1 was chosen as the final model through the chi-square difference test. Psychological sense of LGBT community and LGB positive identity showed positive effects on social support seeking coping strategy and problem solving coping strategy. Also there was a positive effect of psychological sense of LGBT community on the well-being of Korean LGB adults. The well-being of Korean LGB adults was predicted by the problem solving coping strategy positively, and by the avoidance coping strategy negatively. Additionally, the bootstrapping method found that psychological sense of LGBT community and LGB positive identity have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n well-being through problem solving coping strategy. Through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t was also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ath coefficients of LGB positive identity on problem solving coping strategy between lesbians, gay men, bisexual women, and bisexual men. The effect of LGB positive identity on problem solving coping strategy was only significant in gay men and bisexual male, but not in lesbian and bisexual female. Implications in counseling practic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