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셀러레이터의 효용성 연구 : 벤처캐피탈 사례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accelerator : A case study of venture capital firm
- 주제(키워드) 액셀러레이터 , 벤처캐피탈 , 경제적 실험 , Aggregating , Screening , Value up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 지도교수 문성욱
- 발행년도 2017
- 학위수여년월 2017.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기술경영전문대학원 기술경영학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61506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창업 생태계에서 중요한 이해 관계자인 벤처캐피탈은 고위험-고수익을 추구하는 태생적인 특성으로 인해 언제나 불확실성(uncertainty)과 정보의 간극(information gap)과 같은 핸디캡을 안고 있으며, 이를 포함한 여러 리스크를 감소시키고 유용한 초기 정보를 얻기 위해 단계별 자금 투입, 실사, 클럽 딜 등 여러 가지 전통적인 해법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최근 10여 년 전부터 과학과 정보 기술의 발달로 창업 생태계에도 새로운 경제적 실험(economic experimentation)이 가능해 졌으며, 더구나 스타트업의 보육과 육성을 위해 기존에 취해 왔던 프로그램과는 차별화된 메커니즘을 지닌 액셀러레이터가 새로운 이해 관계자로 급속히 부상하고 있다. 이 논문은 ‘액셀러레이터 현상이 창업 생태계에 어떤 유효한 영향이 있는가’, 특히 ‘액셀러레이터가 보육한 스타트업의 잠재적 투자자인 벤처캐피탈과의 관계에서 얼마나 상호 보완적인 효용성을 가지는가’에 대해 조사한다. 이를 위해 액셀러레이터의 동작 메커니즘을 파악하여 세 가지(aggregating, screening, value up) 분석 프레임워크를 만들고 다중의 벤처캐피탈의 사례를 이에 적용하여 액셀러레이터의 효용성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한다. 이러한 연구 사례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액셀러레이터의 효용성에 관한 새로운 명제를 제시한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