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전형적인 액셀러레이터에 관한 연구
- 주제(키워드) 한국의 전형적인 액셀러레이터 , 액셀러레이터의 정의와 기준 , 창업생태계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 지도교수 문성욱
- 발행년도 2017
- 학위수여년월 2017.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기술경영전문대학원 기술경영학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61498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지난 몇 년 사이 국내에서도 액셀러레이터가 창업생태계의 키워드로 떠오르면서 액셀러레이터의 투자조합 결성이나 세제혜택과 같은 지원정책과 법제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정책과 법제화의 대상인 액셀러레이터에 대한 정의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전형적인 액셀러레이터의 정의를 위한 기준을 도출하고, 그 기준을 바탕으로 한국의 전형적인 액셀러레이터를 구분하고자 하였다. 또한 구분된 사례집단의 통합 분석을 통해 한국의 액셀러레이터가 가지고 있는 특징을 도출하고자 한다. 사례통합 분석의 결과, 한국의 액셀러레이터는 (1)전형적인 액셀러레이터의 비중이 높지 않다. (2)설립자의 배경이 멘토 네트워크에 영향을 미친다. (3)Generalist와 Specialist로 구분되지만 Specialist도 IT 기반의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한다. (4)자금의 지원보다 무형적 자산의 제공을 우선으로 한다. (5)서울에 집중되어 있지만 특정 분야의 커뮤니티 형성을 위해 발생하기도 한다. (6)글로벌 스타트업 네트워크에 대한 기여가 높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