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곡과 해석
: 롤랑 바르트는 어떻게 학문적 정당성을 얻게 되었나?
송기정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원문보기
-
주제(키워드)
롤랑 바르트
, 지식사회학
, 피에르 부르디외
, 문학 비평
, 문학 장
, 장 이론
, 지식인
, 투쟁
, 분류체계
, 아비투스
, 사회과학
, 구조주의
, 신비평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김경만
-
발행년도
2017
-
학위수여년월
2017.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사회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61492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 초록/요약moremore
-
본 연구는 프랑스 지식인 롤랑 바르트의 실천을 부르디외의 장 이론을 통해서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부르디외의 장 이론에 입각하면, 우리는 행위자의 실천을 ‘장(Field)’의 관점에서 바라봄으로써 실천을 내부적, 외부적 이론 중 하나로만 분석하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특히 현대 문학 연구의 영역 안에서 바르트는 레이몽드 피카르와의 논쟁 이후 ‘구조주의 이론의 도입’이라고 하는 독보적인 역할을 했다고 평가되는데, 기존의 분석들은 대부분 그의 실천을 주로 이론적이고 인식론적 측면에서만 파악하고 있기 때문에 그의 실천을 사회학적...
- 본 연구는 프랑스 지식인 롤랑 바르트의 실천을 부르디외의 장 이론을 통해서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부르디외의 장 이론에 입각하면, 우리는 행위자의 실천을 ‘장(Field)’의 관점에서 바라봄으로써 실천을 내부적, 외부적 이론 중 하나로만 분석하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특히 현대 문학 연구의 영역 안에서 바르트는 레이몽드 피카르와의 논쟁 이후 ‘구조주의 이론의 도입’이라고 하는 독보적인 역할을 했다고 평가되는데, 기존의 분석들은 대부분 그의 실천을 주로 이론적이고 인식론적 측면에서만 파악하고 있기 때문에 그의 실천을 사회학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드물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바르트의 실천이 구체적으로 발현되었던 구체적인 사회적 맥락과 장 내에서의 바르트의 궤적을 연구하는 것은 바르트의 실천을 보다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에 도움이 될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먼저 부르디외의 장 이론의 핵심이 되는 아비투스(Habitus), 장 그리고 상징 투쟁 등의 주요 개념들을 유기적인 관계망 안에서 이해하고 그것이 어떻게 특정 문화 현상을 이해하는데 효과적인지를 정리할 것이다. 다음으로는 부르디외의 장 이론을 구체적인 바르트의 실천에 적용하여, 그의 실천이 피카르와의 논쟁을 거쳐서 어떻게 현대 문학 이론의 장을 지배할 수 있었는지를 분석해 볼 것이다.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