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아미노옥시데이즈와 아미노트랜스퍼레이즈를 이용한 광학적으로 순수한 비천연 아미노산의 생합성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이현수
- 발행년도 2017
- 학위수여년월 2017.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화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61480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단백질 구조와 역할의 연구에서 여러 작용기를 가진 비천연 아미노산(Unnatural amino acid: UAA)의 도입이 확대되고 있다. 비천연 아미노산은 간단하고 높은 효율성으로 단백질에 유전적으로 도입된다. 이러한 유전적 도입방법은 Amber nonsense codon (TAG)와 이에 상응하는 tRNA/ aminoacyl-tRNA synthetase pair를 이용하여 target 단백질에 도입한다. 도입되는 UAAs 중, 구입이 가능한 것은 Tyrosine이나 Phenylalanine 구조를 바탕으로 한다. 하지만, 보통 가격이 높거나 생화학적으로 관심이 큰 아미노산들은 구입이 불가능해 여러 복잡한 단계를 거쳐 합성을 해야 한다. 또한 UAAs가 도입된 단백질을 정제하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아미노산이 필요하다. 그러나 라세믹 아미노산을 사용하면 단백질 발현 효율이 반으로 줄어들어 광화학적으로 순수한 아미노산을 얻는 것이 중요하다. UAA를 좀 더 적은 비용으로 광화학적으로 순수한 아미노산을 공급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그 중 한가지 방법은 UAAs의 전구체를 이용한 방법이 있다. 이전 연구에서는 합성하기 쉽고 이용하기 쉬운 α-keto acid에서 UAAs로 전환시켰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여러 단계의 합성 방법이 아닌 효소인 D-amino acid oxidase와 amino transferase의 생합성 반응을 통해 광화학적으로 순수한 L-form의 아미노산을 얻은 후 더 나아가 유전적 도입 방법을 통해 합성된 아미노산을 단백질에 도입하는 방법을 소개하려 한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