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ynthesis of organic photocatalysts for module type artificial photosynthesis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이덕형
- 발행년도 2017
- 학위수여년월 2017.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화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61439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물 산화 반응과 이산화탄소 환원 반응은 각각 독립적으로 연구를 주로 하고 있지만 서로 다른 두 가지 산화 환원 반응을 같은 반응 용기 내에서 진행하는 것은 아직 불가능하다. 금속 광촉매를 이용하는 photo-electrochemical(PEC)방법으로는 어느 정도 가능성이 검증되고 있지만, organic-photo-catalyst를 사용하는 경우는 아직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다. 여러 가지 종류의 water oxidation catalyst, photo-sensitizer, 중간 전자 매개체(X1,2,3), CO2 reduction catalyst를 각각 linker 모듈에 연결하고 이들을 잘 알려진 peptide 또는 polyimide 합성 방법으로 연결 한다면 여러 가지 구성 모듈 분자들을 쉽게 변경 할 수 있기 때문에 모듈의 순서 또는 거리 등을 변화시켜 인공광합성 구조를 다양하게 구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이 촉매들을 고체상에 부착하여 합성 할 수도 있고, 고체상 합성 후에 탈착하여 용액상에서 실험을 수행 할 수 있다. Linker 분자가 rigid한 구조(imide, benzimidazole)와 조금 flexible한 구조(amide)를 일차적으로 합성하고 촉매 분자를 부착하면 전체 인공광합성 구조를 순서대로 조립 할 수 있을 것이다. 전체 광합성 시스템은 아직까지 시도되지 않은 방법으로 만약 인공광합성이 작동한다면 획기적인 연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유기 금속 분자 촉매들을 모듈 형태로 연결하여 분자 내 전자 전달을 통한 인공광합성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photo-sensitizer, 중간 전자 매개체, CO2 reduction catalyst, Linker를 합성하였고, 초기 모듈화 작업을 진행하기 위해 solid phase synthesis를 일부 진행 하였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