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정치적 상상력' 교육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political imagination’ for Literary Education

초록/요약

이 연구는 문학 교과서의 <문학과 공동체> 단원을 중심으로 문학교육의 현황을 분석하여 ‘정치적 상상력’을 중심으로 하는 문학교육 방안을 제시한다. 이것은 우리 문학교육에서 ‘정치적 상상력’이 빈곤하다는 인식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우리 문학교육에서 ‘정치적 상상력’이 빈곤하다는 주장은 다음 두 가지 측면을 의미한다. 첫째, 소재로서의 ‘정치’의 빈곤성이다. 정치적 사건과 관련된 문학 작품들이 교과서에 매우 한정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80년대 광주 민주화 항쟁 등 중요한 정치적 사건과 관련이 된 작품들은 거의 찾아볼 수 없다. 이때 ‘정치’의 개념은 ‘문학’이나 ‘경제’ 등과 구분되는 좁은 의미이다. 이 좁은 의미의 정치적 소재를 다루고 있는 문학작품들은 학습자에게 ‘정치적인 상상력’을 보여줄 수 있는 직접적 계기가 된다. 둘째, 문학 교육에서 중요한 것은 넓은 의미의 정치적 차원에서 나타나는 상상력과 그 사유이다. 넓은 의미의 정치는 좁은 의미의 정치와 다르게 우리 삶 전체에 적용된다. 그것은 인간은 정치적 동물이라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주장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우리 인간이 공동체 안에서 서로 이견을 조정하면서 연대성을 지닌 존재로 형성된다는 의미이다. 문학이나 문학교육은 이러한 의미의 정치적 문제, 즉 삶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어야 한다. 즉 문학은 넓은 의미의 정치, 즉 우리 삶의 도구가 되어야 하며, 문학 교육은 이것을 해야 한다. 그러나 우리의 문학 교육은 이러한 ‘정치적 상상력’의 교육을 소홀하게 간주하고 있다. 2장에서 ‘정치적 상상력’이 어떤 것인지 구체적으로 분석하면서, 문학교육과 ‘정치적 상상력’이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주장하였다. 예술이나 문학 속에는 이미 ‘정치성’이 내포되어 있다. 이 정치성은 넓은 의미의 정치이다. 문학은 이런 넓은 의미의 정치에 기여해야 한다. 달리 말해 문학이나 문학교육은 문학적 상상력을 통해 우리 사회와 우리 자신에 대해 다양한 사유와 성찰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3장에서 우리 문학 교육에 ‘정치적 상상력’이 빈곤하게 나타나고 있다는 것을 분석하고 진단하였다. 고등학교 11종 문학 교과서의 <문학과 공동체> 단원의 현황을 검토하면서, ‘제재’로서의 정치문학이 부족하고, 또 삶의 정치라고 할 수 있는 공동체 문제에 대해 교과서의 ‘학습 활동’이 추상적으로 접근하고 있다는 것을 지적했다. 즉 정치적 사건을 다룬 작품들이 문학 교과서에 한정적이고 다양하지 못하다. 또한 교과서의 학습 활동이 우리 공동체에 주어진 문제들을 추상적으로 접근함으로써 문학이 지닌 ‘정치적 상상력’을 소홀히 다루고 있다. 4장에서 이러한 분석과 진단을 바탕으로 ‘정치적 상상력’을 함양하기 위한 교수 학습 방안을 모색했다. 첫째, 정치적 소재를 다루고 있는 문학 작품을 통해 ‘정치적 상상력’의 함양을 위한 교수 학습 방안을 모색하였다. 둘째, 앞서 분석한 교과서에 수록된 작품의 학습 활동에서 ‘정치적 상상력’을 함양할 수 있는 방안을 고안했다. 작품을 감상하고, 상호 텍스트적인 감상을 통해 심화된 작품에 대한 이해를 추구한다는 목적은 현행 교과서와 동일하지만, 감상과 이해의 방식은 현행 교과서와 다르게 재구성하였다. 현행 교과서와 다르게 본문에 실린 내용에 대립되거나 문학 작품이 보여주는 성찰과는 다른 측면에서 바라볼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였다. 이것은 문학교육이 삶의 정치적 문맥에서 일어나는 이견들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는데 도움을 주어야 하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문학교육은 ‘정치적 상상력’을 통해 서로 다른 이견을 조정하면서 공동체적 존재를 만드는데 실질적 도움을 주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과 방향에 따라 문학교육의 구체적 교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analyzes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literature education focusing on the <literature and community> section of high school literature textbook, and suggests that our literature education ought to aim the cultivated extension of the 'political imagination'. Because the 'political imagination' is ignored in our high school literary education, this suggestion is significant. The claim that the ‘political imagination’ is ignored in our literary education means two things. First, the literary works related to the political events in our society are very rare in the hight school textbooks. There are a few works related to the important political events such as the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in the 1980s. This concept of the ‘politics’ as literary ‘theme’ is narrow. In this narrow sense the politics is distinguished from 'literature' or 'economy'. The literary works dealing with the political material in the narrow sense provide a direct opportunity to understand the ‘political imagination.’ Second, what is important in literary education is the imagination and its thinking in the wide political level. The concept of the ‘political’ in a broad sense is the concept which is applied to the whole of our lives. Aristotle’s claim that the human being is the political animal characterized this sense. Our human life is formed within the community. The community is the political place at which the agreement and the disagreements is coordinated. The literature and literary education should help solve this political problems. In other words, the literature and the literary education should be a means of the broad sense of the politics or the politics of our life. However, our literary education neglects the importance of this 'political imagination'. In Chapter 2, this study analyzed the ‘political imagination’ in detail and argued that the literary education and the ‘political imagination’ are closely related. There is already the 'politics' in art and literature. This is the politics in a broad sense. The literature should contribute to this broad sense of the politics. The literary and literary education should help us to think and reflect on our society through literary imagination. In Chapter 3, the problem situation that the political imagination appears in poverty in literary education was analyzed and diagnosed. In review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Literature and Community> section of eleven high school literary textbooks, there are few literary works related to the political themes. In addition, this study pointed out that the ‘learning activities’ of textbooks are abstract about the community issues, which are the center of the politics of life. The 'learning activities' in textbooks neglect the 'political imagination' of literature by approaching the problems of our community abstractly. In chapter 4, depending on these analysis and diagnosi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o cultivate the 'political imagination'. First, through the literary works dealing with political material, we searched for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cultivating the 'political imagination'. Second, this study proposed a way to cultivate the 'political imagination' in the ‘learning activities' of literary works in textbooks. The aim of the appreciation of literary works and the understanding through mutual textual appreci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extbooks, but the concrete way of the appreciation and understanding is reconstructed differently from that of textbooks. In conclusion, the literary education should give us the practical help to make us the communal existence by adjusting the different opinions through the political imagination. According to this purpose and direction, a concrete teaching plan of the literary education should be prepare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