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tein delivery system with lipid vesicles for Wound healing
- 주제(키워드) fibronectin , extracellular matrix , ECM , wound healing , tissue repair , liposome , small unilamellar vesicle , SUV , protein delivery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신관우
- 발행년도 2017
- 학위수여년월 2017.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화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61299
- 본문언어 영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Most of fibronectin activities, including wound healing, has been ascribed to the insoluble form of fibronectin, usually existed as extracellular matrix form. To determine the effect of fibronectin fibril in wound healing, fibrillogenesis of plasma fibronectin was induced by the negatively charged lipid vesicles. Fibroblasts were cultured and fibronectin solution and fiber were transferred to the cells. Microscopic and fluorescence analyses indicated that fibronectin fibril was delivered into the fibroblast, secreted out of the cell and promotes the cell growth and migration between a gap as an artificial wound. Polyethylene glycol was added as an excipient to adjust the viscosity for increasing adhesion time on the wound, but it interfered the cell growth and migration while enhancing protein delivery. As fibronectin is known to be essential in wound healing, fibronectin fiber is more effective in wound healing than dimer solution form and SUV with protein fibrillogenesis inducer takes a role as a fine protein delivery system.
more초록/요약
피브로넥틴이 상처 치유를 포함하여 다양한 생체 내 반응을 조절할 때에는 주로 세포외기질 내에 불용성 상태로 존재한다. 본 논문은 혈장 음전하 인지질이 포함된 베지클로 피브로넥틴의 섬유화를 유도한 뒤, 섬유화 된 피브로넥틴의 상처 치유 촉진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가용성 혈장 피프로넥틴과 섬유화된 혈장 피브로넥틴이 피부 섬유아세포에 전달되고 분비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폴리에틸렌글라이콜이 점성 증가를 위한 첨가제로 사용되었으며, 이로 인해 단백질 전달 속도가 향상되었으나 세포 성장과 이동을 방해하는 경향을 관찰하였다. 섬유화된 피브로넥틴이 주입된 경우, 가용성 피브로넥틴이 주입된 경우보다 더 빠른 세포 성장 및 이동을 보였다. 이를 통해 음전하 인지질이 포함된 베지클이 단백질의 섬유화 및 전달 시스템으로 활용 가능하며, 상처 치유 등의 의학적 목적에 응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