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인훈 <봄이 오면 산에 들에>의 공연기호 분석을 활용한 희곡교육 방안 연구
A study on educational methods of Choi In-hoon’s drama <In A Mountain And A Field When Spring Comes> using its semiotics of theater
- 주제(키워드) 문학교육 , 희곡교육 , 희곡교수·학습 , 공연기호 , 공연기호학 , 무대 형상화 , 최인훈 , 봄이 오면 산에 들에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이상란
- 발행년도 2017
- 학위수여년월 2017.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국어교육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61257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고는 최인훈 희곡 <봄이 오면 산에 들에>를 대상으로 공연기호학을 활용한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공연기호학을 활용한 이유는 ‘극 갈래의 특성에 따른 형상화 방법을 중심으로 희곡을 감상해야 한다’는 국어과 교육과정 문학 영역의 성취기준에 따른 것이다. 종전에 공연 형상화를 적용한 희곡교육 연구가 선행되어있지만 이는 무대 형상화를 주된 수업 내용으로 삼기보다는 연극 연출만을 위한 방법으로 여겨졌다. 본고는 무대 형상화가 문학적 분석과 해석 없이 되는 경우, 표면적인 감상의 결과만이 연극으로 표현될 수 있다는 문제에 착안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작품세계에 충실한 무대 형상화가 필요하고 희곡교육에 작품의 공연기호학적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공연기호가 작품의 세밀한 분석과 다양하게 해석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무대를 전제로 한 개념이라는 점에 주목한 것이다. 최인훈 희곡 <봄이 오면 산에 들에>를 교육 내용으로 선정한 것은 극 갈래의 특성이 선명히 드러나고 문학 교육에서 강조하는 상상력 신장에 적합하며 내용적인 면에서도 학습자들이 작품을 내면화시킬만한 교육적 가치가 있기 때문이다. 이는 기존에 선행된 최인훈에 관한 연구와 <봄이 오면 산에 들에>에 관한 연구를 검토하며 확인하였다. 희곡교육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Ⅱ장에서는 최인훈 희곡 <봄이 오면 산에 들에>를 공연기호학적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봄이 오면 산에 들에>의 시간을 분석 할 때에는 주로 심리적 시간에 주목하였다. 작품은 인물들의 내적 갈등과 망설임을 인물의 발화행위나 음악·음향을 통해 느린 리듬으로 표현하였다. 또한 주인공의 무의식인 과거에 대한 기억들이 주인공을 주체적인 인물로 변화시키는 데 일조했음을 확인하였다. 두 번째로, 공간을 분석한 결과로는 인물들을 격리시키거나 인물들에게 단절감을 주는 잠재 공간과 오브제를 통해 단절을 화합으로 연결시키는 공간들을 살펴보았다. 이는 작품에서 대표적으로 드러난다고 볼 수 있는 격리와 화합의 공간인 첫 장면의 ‘깊은 산속’과 마지막 장면의 ‘더 깊은 산속’을 비교·대조한 것으로 정리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인물을 분석한 결과를 통해 희생적 사랑이 바탕이 되는 인물들의 관계가 서로의 구원을 이루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중에서 달내의 변화를 가장 방해하던 어미와의 갈등이 해소되는 과정은 곧 달내가 어미를 이해하게 되는 과정이었다. 이는 달내의 독백과 움직임으로 표현된 어미와의 동일시에서 이루어진 것임을 알 수 있었다. Ⅲ장에서는 이러한 공연기호 분석과 해석을 활용하여 <봄이 오면 산에 들에>의 희곡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Ⅱ장의 분석을 활용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거나 학습자들의 예상 반응에 따른 교사의 지도 유의점을 밝혀두었다. ‘지식 이해 및 작품 읽기’ 단계에서는 공연기호의 개념을 파악하기 위하여 극단 미추와 극단 씨어터 백의 실제 공연 영상을 비교하는 활동을 구성하였다. ‘내적 대화’ 단계에서는 학습자가 스스로 연극의 시간, 무대 공간, 인물에 대한 기호들을 찾아보며 읽을 수 있도록 일련의 학습목표를 정리하였다. ‘외적 대화’ 단계에서는 학습자들 간의 대화와 교사와의 대화를 통해 학습자들이 자신이 찾은 공연기호를 가지고 공간을 구축하고 공연을 형상화시키는 활동을 마련하였다. 마지막으로 그동안의 분석을 통해 해석한 ‘작품의 의미를 정리하는 단계’로 몇 가지 주제를 놓고 발표와 토론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적극적인 감상이 되도록 하였다. Ⅳ장에서는 결론적으로 공연기호의 분석과 해석이 희곡교육 안에 녹아들 때 학습자들이 희곡을 더 주체적이고 능동적으로 감상할 수 있다는 것을 Ⅱ장의 공연기호학적 분석과 Ⅲ장의 희곡교육 방안을 연결하여 요약‧정리하였다. 아울러 교사가 희곡을 교육 할 때에는 교사 스스로 작품에 대하여 보다 면밀하게 분석하고 해석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함을 언급했고 이러한 모든 활동은 문학교육의 궁극적인 목표인 학습자의 작품 내면화에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이 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more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educational methods of Choi In-hoon’s drama <In A Mountain And A Field When Spring Comes> using semiotics of theater. This paper analyzes the drama based upon semiotics of theater in accordance with an achievement standard in literary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course; it helps learners appreciate the drama through staging which is a characteristic of play. Although studies on drama education where staging is applied have previously been conducted, they have been considered a method only for theater directing as opposed to a methods for teaching staging. This paper considers it a problem that staging without literary analysis possibly leads to a play that only reflects superficial impressions; it insists that staging that fully focuses on works and drama education based upon semiotic analysis are the solutions. It focuses on the fact that theatrical signs allow detailed analyses and various interpretations of works and they are for stage performances. The reason why this paper analyzes Choi In-hoon’s drama <In A Mountain And A Field When Spring Comes> is that it clearly reflects characteristics of play; it effectively boosts imagination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spects in literary education; and its story has its own educational value for learners to internalize. These have been confirmed by reviewing existing studies on Choi In-hoon’s works and his drama <In A Mountain And A Field When Spring Comes>. In Chapter Ⅱ, this paper analyzes Choi In-hoon’s drama <In A Mountain And A Field When Spring Comes> based upon semiotics of theater in order to come up with educational methods for drama. First all, this paper focuses on psychological time as it analyzes time in <In A Mountain And A Field When Spring Comes>. The drama describes characters’ inner conflicts and hesitance using each character’s speeches or musics/sounds with slow tempo. Also, it can be found in the drama that the main character’s subconscious memory of the past contributes to turning her into an independent person. Second, this paper analyzes space in the drama. It deals with some potential spaces which isolate characters or cause a sense of alienation among them and other spaces which turn alienation into harmony through objets. This paper compares and contrasts the first scene, “a deep forest”, which is a representative space of alienation and harmony with the last scene, “the deeper forest” Lastly, this paper finds that relationships between characters based upon sacrificial love redeem each other. To be specific, Dalnae comes to understand her mother as a conflict between them, which has undermined Dalnae’s changes the most, is resolved. In Chapter Ⅲ, this paper suggests educational methods for <In A Mountain And A Field When Spring Comes> using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theatrical signs in the drama. Also, it suggests guidelines based upon analysis in Chapter II and advice for teachers to respond to learners’ expected responses. In the stage of “understanding of knowledge and reading the work”, this paper compares videos of performances of Mi-choo theater company with Theatre Back theater company for the purpose of grasping the concept of theatrical sign. In the stage of “internal conversation”, this paper suggests a series of learning objectives to help learners find theatrical signs about time, space and characters in the drama by themselves. In the stage of “external conversation”, this paper suggests activities such as creating spaces and staging using theatrical signs learners found in the drama by having conversations between learners or learners and teachers. In the final stage of “reviewing the meaning of the drama”, this paper encourages learners to actively appreciate the drama by having presentations and discussions on a couple of subjects. In Chapter Ⅳ, this paper summarizes the conclusion that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theatrical signs help learners appreciate the drama more independently and actively in line with semiotic analysis in Chapter Ⅱ and educational methods in Chapter Ⅲ. On top of that, it says that teachers must thoroughly analyze and interpret drama works in advance before they teach them. Also, it emphasizes that all these activities must be of help to learners’ internalization which is the ultimate goal of literary educatio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