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체육교사의 지도유형이 학생들의 수업만족도,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aching Style of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 on Student Satisfaction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 주제(키워드) 체육교사 , 지도유형 , 수업만족도 , 학교생활만족도 , 중학생 만족도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최대혁
- 발행년도 2017
- 학위수여년월 2017.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체육교육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61214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는 중학교 체육교사의 지도유형(민주적 행동형, 긍정적 보상형, 자율형, 사회적 지지형)이 학생들의 수업만족도,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2016년 현재 경기도 K시에 소재한 중학교 2곳을 모집단으로 설정, 연구대상의 표집은 유층 집락 무선 표집 법(Stratified clester random sampling)으로 설정하고 설문지는 총 530부를 배포하여 최종 회수된 512부의 자료를 본 연구의 최종 유효 표본으로 사용하였다. 조사도구는 체육교사의 지도유형을 파악하기 위하여 김시내(2012)의 지도자 행동 검사지를, 수업만족도는 김시내(2012), 이지훈(2008), 김태경(2012)이 사용한 설문지를 본 연구에 맞도록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학교생활만족도는 김태경(2012)이 사용한 학교 생활적응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Window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목적에 따라 빈도분석, 요인분석, Cronbach's α, 독립표본 t-test(Independent t-test),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Scheffé test(사후검증),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방법과 분석을 거쳐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배경 변인에 따라 체육교사의 지도유형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별로는 체육교사의 지도유형 하위요인별 모두가 1학년, 3학년의 경우 2학년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었고, 성별로는 사회적 지지형에서만 차이가 있었으며 남학생의 경우 여학생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 교과목 선호도별로는 체육교사의 지도유형 하위요인별 모두가 선호, 중립, 비선호 순으로 높게 인식하였고, 체육교사 성별별로는 민주적 행동형, 긍정적 보상형, 사회적 지지형에서 여성의 경우 남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배경 변인에 따라 수업만족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별로는 수업만족도 하위요인별 모두 1학년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성별로는 교수행동 만족, 실력향상 만족, 수업환경 만족에서 남학생의 경우 여학생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 교과목 선호도별로는 수업만족도 하위요인별 모두가 선호, 중립, 비선호 순으로 높았고, 체육교사 성별별로는 여성의 경우 남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배경 변인에 따라 학교생활만족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별로는 학교생활만족도 하위요인별 교사관계에서 3학년의 경우 2학년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고, 학교수업, 학교교칙에 있어서는 1학년과 3학년의 경우 2학년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학교수업에서 남학생의 경우 여학생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 교과목 선호도별로는 학교생활만족도 하위요인별 교사관계, 교우관계, 학교교칙에서 선호, 중립, 비선호 순으로 높았고, 학교수업에 있어서는 선호의 경우 중립, 비선호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교사 성별별로는 학교교칙에 있어서 여성의 경우 남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넷째, 체육교사의 지도유형과 수업만족도, 학교생활만족도 간의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수업만족도와 학교생활만족도 간에도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대상을 보다 확대하여 연구결과를 보다 일반화할 수 있도록 구성할 필요가 있다. 둘째, 양적 연구로서의 다양한 접근 방법은 물론, 참여자들의 세부적인 사항까지 파악할 수 있는 질적 연구를 함께 활용할 필요가 있다. 셋째, 체육수업을 보다 효과적인 수업으로 만들기 위해 창의적이고 다양성이 있는 지도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다양한 대상으로 심층적인 연구를 진행 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