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고등학생의 완벽주의와 학업 스트레스의 관계: 불안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m and Academic Stress among High School Students: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Anxiety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완벽주의, 학업 스트레스, 불안의 관계를 살펴보고, 완벽주의 각 하위차원과 학업 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불안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 소재의 고등학교 세 곳과 지방 소재 고등학교 한 곳에 재학 중인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 학업 스트레스 척도, 불안 척도로 구성된 설문지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538부를 연구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변인들의 평균 및 표준편차를 위해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의 기초분석을 실시하였다.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변인들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과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고, 변인들 간의 관계를 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학업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불안의 매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붓스트랩(boostrapping) 방법을 통해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완벽주의, 학업 스트레스, 불안의 정도를 알아본 결과, 중간 수준을 크게 벗어나지 않은 양호한 상태로 나타났다. 둘째, 학년과 성별에 따른 연구 변인들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완벽주의와 학업 스트레스는 학년과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불안은 1학년에 비해 2, 3학년이 높았으며, 여학생의 불안 수준이 남학생보다 높았다. 셋째, 각 변인들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자기지향적 완벽주의는 학업 스트레스와 정적상관을 보였고, 사회부과적 완벽주의는 학업 스트레스, 불안과 정적상관을 보였다. 불안은 학업 스트레스와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넷째, 완벽주의 각 하위차원이 학업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불안의 매개 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기지향적 완벽주의는 매개모형의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였고, 사회부과적 완벽주의는 학업 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불안의 매개 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완벽주의 하위차원에 따라 학업 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불안의 매개 효과가 다르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고등학생의 완벽주의는 학업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며, 완벽주의의 각 하위차원에 따라 학업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은 불안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완벽주의 성향을 가진 고등학생의 학업 스트레스 상담 및 치료에 도움이 되는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