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이윤택 연극의 행위 복원 양상 연구 : 「오구 - 죽음의 형식」, 「바보각시 - 사랑의 형식」, 「문제적 인간 연산」을 중심으로

A Study on Restoration of Behavior in Lee Yun Taek’s Plays : Ogu: A Ceremony of Death, The Dummy Bride: A Ceremony of Love, and Problematic Human Yeoun-San

초록/요약

필자는 「오구 - 죽음의 형식」, 「바보각시 - 사랑의 형식」, 「문제적 인간 연산」을 중심 으로, 이윤택 연극의 행위 복원 양상을 밝히기 위해 본 논문을 기획하였다. 리차드 쉐크 너는 퍼포먼스를 “복원되는 행위(restored behavior)”(1985)로 정의한다. 그에 따르 면, 행위가 복원되는 절차에는 워크숍 - 리허설 과정이 존재하는데, 그 동안 연행자들은 자신의 사고방식과 그들이 처한 정치∙사회∙문화적 환경과 같은 요소들을 통해서 과거의 실 제 사건이나 허구적 사건을 변주한다. 이윤택 또한 행위의 복원을 적극적으로 수행하는 사람중한명이다. 그는연극생산에있어서, 전통의례나설화, 역사등을자신의작품 에 포섭하는 전략을 취한다. 이윤택의행위복원전략은그의연극미학과결코떨어져있는것이아니다. 이윤택의 연극 미학인 “해체”는 대상에 대한 다각적인 관점을 제시하여, 관객이 그것에 대한 비 판적 사고를 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연행 방식을 함의한다. ‘다양한 시선의 제시’라는 이윤택 연극론의 목적은 그의 작품들에서 빈번히 나타나는 메타드라마 구조와 밀접한 관계 를 갖는다. 이윤택의 행위 복원 전략, 즉, 과거의 사건을 메타드라마 구조를 통해 재현하는 연행 방식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등장인물이 행위 복원의 주체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그의 연극 안에서 등장인물들은 각자의 욕망과 사고방식을 가지고 각종 의례에 참여한다. 그리 고 그들의 시선에 의한 연행의 중재는 복원되는 의례의 성격을 변주하는 데에 영향을 미 친다. 역으로 등장인물 또한 의례의 영향을 받는다. 그들은 의례의 연행 과정에서 ‘분리 - 전이 - 재통합’의 과정을 겪는다. 의례의 전이체험을 통해서 등장인물들은 세상을 바라보는 방식을 바꾸고, 새로운 삶의 형식을 수용한다. 이윤택 연극의 위와 같은 특성을 밝히기 위해서 필자는 II, III, IV장을 통해서 각각의 작품을 다음과 같이 분석했다. 먼저, 필자는 이윤택이 행위 복원의 대전제로 설정하고 있는 등장인물들의 성격을 기술하였다. 다음으로, 등장인물의 사고와 환경이 연극에서 복 원되는 행위들의 형식과 의미망을 어떻게 변주하는 지를 서술하였다. 나아가 의례의 연행 에서 일어나는 등장인물의 전이 체험 양상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이윤택 연극의 행위 복 원 과정이 관객의 연극 체험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를 드러내었다. 「오구 - 죽음의 형식」의 경우, 굿과 전통 상례의 복원은 석출, 어머니, 맏아들을 중심 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무대 위에서 변주된 죽음의 형식들은 어머니를 일제강점기 피해 자에서 초월적 가치를 다음 세대에게 전달하는 존재로 전환시키는 데 성공한다. 어머니가 아들에게 상속하는 것은 삶의 죽음을 넘나드는 역동적인 시선이며, 그것은 해방된 일상을 이끄는 힘이 된다. 「바보각시 - 사랑의 형식」에서는 사회극과 대중문화, 아기장수 설화의 복원을 통해서 살보시 설화가 재조명된다. 이윤택은 바보각시의 살보시를 현대 사회에서 문제가 되고 있 는 파편화에 대한 처방으로 제시한다. 이윤택 연극의 어머니 신화는 살보시의 의미를 변 주한다. 바보각시의 살보시는 파편화 인간 사이에 끊어진 유대를 다시 잇고 ‘가족’을 이루려는 행동이다. 그녀의 초월적 사랑이 갖는 구원의 메커니즘은 그녀의 부활 장면을 통해서 나타난다. 그녀의 모성이 사람들에게 구원의 형태로 전달되면서, 신도림역전 소외 자들 사이의 순수한 만남, 진실한 만남이 이루어진다. 「문제적 인간 연산」에서는 두 편의 굿과 궁중 조회, 상제 수난이 복원되고, 역사서가 직접 인용된다. 이윤택은 전통 의례와 역사서의 중재를 통해서 폭군으로 이해되어 온 연 산군의 정체성을 재조명한다. 연산이 주재하는 굿은 죽은 어머니를 피해자에서 희생자로 전환하기 위한 애도 의식이었다. 그러나 이는 주변 인물들에 의해서 권력 획득 장치로 변 화한다. 어머니 신화가 좌절된 세상은 더 이상 초월적인 가치관을 제시할 수 없게 된다. 그것은 오히려 장소의 공포 그 자체만을 관객에게 전달하며, 오히려 혁명의 대상이 된다. 위의 같은 분석을 통해서 필자는 이윤택이 복원하는 행위 복원의 뿌리가 ‘어머니 신 화’에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연극에 내재한 전통 연희나 설화는 주동인물이 지니는 ‘어머니 신화’를 공유하기 위한 기관으로 변화한다. 이윤택은 현실로 간주되는 외 부극과 신화적 세계를 구현하는 내부극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어머니 신화 성공의 가 능성을 실험한다. 그 실험이 성공할 때에는 모성으로 표상되는 초월적 가치가 관객에게 전달된다. 반면, 실패할 때에는 혼란과 공포가 관객에게 전달된다. 이윤택의 연극은 관객 으로 하여금 어머니 신화가 주는 해방된 삶의 방식에 매력을 느끼고, 그것의 좌절에 겁을 먹도록 하는 ‘메타-희생제의적 퍼포먼스’로 기능하는 것이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restoration of behavior in Lee Yun Taek’s plays focusing on his three plays Ogu: A Ceremony of Death, The Dummy Bride: A Ceremony of Love, and Problematic Human Yeoun-San. Richard Schechner defines performance as “restored behavior”(1985). According to Schechner, the workshop-rehearsal process exists in the course of behavior being restored. In that process, performers transform not only the real events in the past but also fabricated ones through their mentality and the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circumstances they are in. Lee Yun Taek himself is involved in performing the restoration of behavior as well. In the production of his plays, he takes a strategy of integrating traditional rituals, folk tales and history in his works. Lee Yun Taek’s strategy of restoration of behavior is not separate from his theatrical aesthetic. “Deconstruction”, which is his theatrical aesthetic, provides diverse perspectives on the objects and implies a way of performance that leads the audience to think about them critically. The purpose of his theatrical theory, which is ‘to suggest diverse perspectives’, is closely related to the structure of metadrama that is frequently presented in his works. Lee Yun Taek’s strategy of restoring behavior―the most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reenacting past events through the structure of metadrama―suggests that the characters function as the subjects of restoring behavior. In his plays, each character participates in all sorts of ceremonies with his or her own desires and mentality. And the mediation of performance from each of their perspectives influences how it transforms the nature of ceremonies and the characters are influenced by ceremonies as well. They go through the process of ‘separation – transition – reincorporation’ in the course of performing ceremonies. Through the liminal experience from ceremonies, the characters change their view of the world and accept a new form of life. To examine these features in Lee Yun Taek’s plays, the analysis of each play follows in the chapters II, III, and IV. First of all, the personal traits of the major characters are described in that the characters are established as the major premise for the restoration of behavior by the playwright. It is then followed by the description of how their thinking and circumstances transform the form and semantic network of restored behavior. Furthermore, this study identifies the aspect of liminal experience that the characters go through in the course of performing ceremonies. Finally, the description of how the process of restoring behavior in his plays influences the theatrical experience of the audience follows. In the case of Ogu: A Ceremony of Death, restoration of exorcism and traditional funeral rites is reached with Seok-chul, an old mother, and her eldest son as the central figures. And the forms of death transformed on the stage successfully convert the mother from the victim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to someone who passes on transcendental values to the next generation. The fact that the mother inherits her legacy to her son provides a dynamic perspective that goes back and forth over the boundary between life and death, and that becomes a driving force that leads to liberated daily lives. In The Dummy Bride: A Ceremony of Love, the tale of sexual relations with a Buddhist priest is reviewed through the restoration of social drama, popular culture, and the stories of Agi Jangsu (the tale of the Baby Generalissimo). Lee Yun Taek provides the dummy bride’s sexual relations with a Buddhist priest as a measure to solve the problem of fragmentation in the modern society. The Myth of Mother in the play transforms the meaning of sexual relations with a Buddhist priest. The dummy bride’s illicit sexual relations with a priest is the act of reconnecting the broken ties among fragmented human beings and forming a ‘family’. The mechanism of salvation in her transcendental love is revealed through the scene of her resurrection. As her maternal instinct is transferred to people as a form of salvation, it becomes possible for the underprivileged in front of Sindorim station to have genuine and honest relationships. In Problematic Human Yeoun-San, two rituals of exorcism, court assembly, and the Confucius sacrificial rituals are restored and explicit references to historical texts are made. Through the mediation of traditional ceremonies and historical texts, Lee Yun Taek sheds a new light on the identity of King Yeon-San, who has long been viewed as a tyrant. The exorcism held under King Yeon-San was a mourning ceremony to transform a dead mother from the innocent victim to someone who sacrifices herself. However, this turns into a means to gain power by the surrounding characters. The world in which the Myth of Mother fails could no longer provide transcendental values. Rather, it conveys the fear of the place to the audience and becomes the object of revolution. The analysis above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Lee Yun Taek’s restoration of behavior is rooted in ‘the Myth of Mother’. Traditional ceremonies or fork tales underlying his plays transform into the institution for sharing the Myth that the leading characters have. Lee Yun Taek experiments with the possibility of whether the Myth of Mother would succeed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the outer play (i.e., the reality) and the inner play (i.e., the mythical world). When the experiment succeeds, the transcendental values represented as maternal instinct are conveyed to the audience. When the experiment fails, however, chaos and fear are delivered to the audience. In that sense, Lee Yun Taek’s plays function as ‘performance of meta-sacrificial rituals’ that makes the audience charmed by the way of liberated life achieved by the Myth of Mother or terrified by its failure.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