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서정인 소설에서 나타나는 '탈주적 참여'의 수사학적 양상 연구

A Study on the Rhetorical Aspects of ‘Escape Participation’ in Jeong-in Seo’s Novel

초록/요약

본 연구는 서정인의 소설에서 나타나는 형식과 서술 기법을 통한 리얼리즘의 양상을 이탈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문학적 참여의 시도로서 살펴보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탈주적 참여’라는 새로운 참여의 방식을 규정하고, 이를 통해 서정인의 소설을 살펴봄으로써 그의 소설이 가진 참여의 가치를 밝히고자 하였다. 그것은 작가의 의식이 문장을 통해 의미화 됨으로써 문학적 참여가 이루어진다고 주장했던 사르트르와 상반된 입장에서, 형식 및 서술 기법의 원동이 되는 ‘이탈성’의 참여 원리를 밝히는 과정을 통해 진행되었다. 서정인이 새로운 형식을 통해 규정 불가능한 세계의 실질을 형상화하고자 했던 것은 이미 작가 자신이 수필 등의 자전적 글들을 통해 여러 차례 밝힌 바이며, 또한 기존의 관련 논의에서 보편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내용이다. 본고는 이를 바탕으로 서정인의 소설에서 나타나는 현실과 형식 실험의 상관 양상을 구체적으로 찾아 밝히며, 나아가 그것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참여를 수행하고 있는지 원리를 밝히고자 하였다. 기존 연구들이 서정인의 소설 속에 그의 현실 인식이 어떻게 반영되어 나타나고 있는가에 주목했다면, 본고는 그러한 문학적 시도를 통한 양상들이 다시금 현실에 끼치는 영향을 ‘참여’의 측면에서 주목하고자 하였다. 탈주적 참여는 산문과 시, 의미와 형식에 대한 사르트르의 이분법적이고 위계적인 사고를 무너트리며, 작가의 의식이 의미를 통해 현실 참여로 이어지는 방식 이외의 문학적 참여의 가능성을 주장한다. 사르트르는 의미화의 상대적 자리에 존재하는 형식이나 표현기법은 작가의 의식을 담을 수 없으므로 참여에 적합하지 않다고 주장했으나, 탈주적 참여에서 그것들은 의미로부터 멀어지는 그 ‘이탈적’ 특성을 원동으로 참여를 수행한다. 그것은 요컨대, 텍스트가 재현의 권력으로부터 벗어나 열린 해석의 여지를 남기는 형상화 방식을 선택함으로써 규정 불가능한 세계를 그대로 비춰내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독자가 형식과 서술 기법 등의 텍스트 내적인 장치들에 대한 독해와 동시에, 그 과정 속에서 스스로 발견해낸 세계의 보편적인 문제의식을 텍스트 외적인 현실 세계에 적용함으로써 문학을 통해 세계에 개입하기를 유도하는 것이다. 서정인의 소설이 이러한 탈주적 참여와 연관을 이루는 타당성은 그의 창작 과정 전반에서 초기와 후기를 구분하게 하는 서술 상의 변화를 통해 살펴볼 수 있다. 그는 후기에 들어 세계의 실질 그 자체를 소설에 담아내기 위한 방안으로 형식이라는 기법을 선택했는데, 그것은 이탈의 방식을 원동으로 세계의 반영을 시도했다는 점에 있어 탈주적 참여와 근본적인 원리를 함께 한다. 그가 후기에 이르러 선택한 것은 텍스트를 그릇이 아닌 ‘거울’로 활용하는 것이었다. 텍스트의 형식 기법을 통해 독자의 세계를 거울처럼 비춰 보임으로써 다시금 세계를 독자에게 그대로 전달하는 것이다. 그것은 세계의 리얼리티를 소설 속의 리얼리티로 재구성하거나 재현하여 독자에게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형식을 통해 규정 불가능한 세계의 실질을 그대로 비춤으로써 독자가 독서 과정에서 세계의 문제를 직면하도록 유도하는 방식이다. 본고는 이러한 내용을 본론의 세 장을 통해 분석해보았다. 먼저, 1장에서는 서정인 소설에서 언어의 비도구적 활용이 나타난 부분에 주목하여 탈주적 참여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서정인의 소설에는 도구적 언어의 체계에서 이루어지는 언어와 대상의 일치에 대한 암묵적인 믿음을 뒤흔드는 양상이 나타난다. 이는 결과적으로 독자로 하여금 언어 체계 뒤에 숨어있던 세계의 혼란스러운 실질 그 자체를 경험하게 하고, 세계에 대한 고정적 인식을 해체하도록 유도한다. 또한 소설에는 기표를 중심으로 문장이 배열됨으로써 언어의 사물성이 두드러지는 양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때 기표들의 배열이 만들어내는 리듬은 의미 중심으로 형성되었던 기존 소설의 지성적 질서를 누르고 감성적 질서의 힘을 키우는데, 이 감성적 질서의 힘은 다시 문장의 전체 의미 맥락을 전달하는데 이바지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지성과 감성의 평등적인 위계를 형성하는 참여의 맥락을 형성한다. 2장에서는 서정인 소설의 형식 실험 양상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입말과 대화 형식의 참여 원리를 살펴보았다. 먼저 입말 체계의 경우, 글말과 다르게 입말이 가진 논리로부터의 자유로움이 소설 안에서 인물들이 주고받는 대화 내용의 ‘역설’적인 양상을 구현함에 따라 세계의 유동적이고 모순적인 양상을 담아내는 방식을 분석해보았다. 또한 대화의 형식에서는 추상적인 관념이 인물들 간의 말의 주고받음의 과정 속에서 실천의 차원으로 거듭나게 되는 대화의 ‘운동성’의 원리를 논하고자 하였다. 독자는 독서의 과정에서 그 대화의 운동에 개입함으로써 인물들과 함께 보편적인 삶의 문제의식에 대해 고민하게 되는데 그 과정에서 일어나는 문학을 통한 참여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마지막 3장에서는 서술의 차원에서 나타나는 참여의 효과를 분석해보았다. 서정인의 소설에는 세계의 우연이나 어긋남의 상황에 대하여 완전히 타율적으로 그것을 수용하는 태도를 보이는 인물이 등장하는데, 이러한 인물들의 양상은 독자로 하여금 예측 불가능한 세계의 성격을 간접적으로 체험하는 효과를 불러일으킨다. 다가올 일들을 미리 예상하고 계획하지 않는 인물들의 타율적 삶의 태도는 독자의 입장에서 텍스트를 읽으며 예측할 수 있는 인물의 반응에 대한 예외적 양상으로써 세계의 규정 불가능의 성격을 배가시키기 때문이다. 아울러 텍스트는 ‘공백’과 ‘지연’의 전략이나 ‘소급제시’ 등의 기법을 통해 독자에게 의문을 던지거나 일관적으로 의지하고 있던 보편적인 관념이나 중심인물에 대한 재해석의 여지를 가지게 한다. 이는 독자가 능동적으로 텍스트에 접근하게 하도록 유도하는 전략으로 파악되는데, 독자는 자신에게 부여된 의문으로 하여금 텍스트에 제시된 세계의 문제에 적극적으로 개입을 시도하는 것이다. 서정인은 세계의 실체를 소설에 담을 수 있는 가장 최선의 방법을 위하여 형식을 택했다. 형식의 순수한 효과와 힘을 활용하여 자신의 의식을 전하려했던 서정인의 문학적 시도는 그에게 현실 반영에 대한 관심에 못지않게 문학적 완성도에 있어서도 욕심이 있었다는 것을 증명한다. 그리고 그것은 그가 순수한 미학과 현실 참여에 대한 두 개의 꿈을 품고, 그것의 실현을 위해 부단히 노력한 작가 중 한 명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이를 바탕으로 본고는 서정인의 그러한 의도를 ‘탈주적 참여’로 규정하고자 하였다. 서정인의 문학적 시도가 참여의 가치로서 재평가 될 때 그의 소설을 비롯해, 문학을 통해 삶을 이해하고, 삶을 통해 문학의 완성에 손을 뻗으려 하는 작품들은 미학과 참여의 합치를 위하여 ‘실패’를 각오하고 시도된 ‘실천’의 글쓰기로서 그 참여의 의의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intended to probe into the aspect of realism as an attempt of literary participation made in a departing manner through the format and narrative technique appearing in Jeong-in Seo’s novels. In other words, this study focused on verifying the value of participation that his novels have by examining Seo’s novels based on the new definition of participation called ‘Escaping Participation.’ This was conducted in the course of investigating the participatory principle of‘Escape’ which becomes the prime method for format and narrative technique while opposing the idea of Sartre who argued that the literary participation is realized when the consciousness of the author is signified through written language. Seo’s attempt to embody the true nature of the undefinable world through new format has already been clarified through the author’s autobiographical writings including essays and is universally known through related discussions in the past. Based on this idea,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connection between the reality and format experiment appearing in Seo’s novels and the principle applied to their participation. While preceding studies focused on how Seo’s consciousness of reality is reflected in his novels, this study focused on the impact of the outcomes of such literary attempts on the reality in the aspect of ‘participation.’ ‘Escape Participation’ pulls down the dichotomous and hierarchical idea of Sartre about prose and poem and meaning and format and suggests the possibility of literary participation other than the author’s consciousness leading to participation in reality through signification. Sartre argued that the format or expressive technique on the opposite side of signification is not appropriate for participation as they cannot embody the author’s consciousness. However, they carry out participation based on the ‘Escape’ characteristics moving away from meaning in ‘Escape Participation.’ In other words, the text reflects the undefinable world as it is by moving away from the power of reproduction and choosing the method embodiment which is open for interpretation. This induces readers to engage in the world through literature while understanding the internal instruments of the text such as format and narrative technique and applying the universal critical mind about the world they found by themselves during this process to the real world outside the text. The connection between Seo’s novels and this ‘Escape Participation’ is witnessed by the change in the narration which divides the overall process of his creation into early period and latter period. In the later period, he chose the ‘format’ as a technique to represent the true nature of the world itself in the novel, and it shares the basic principle with ‘Escape Participation’ for it attempted to reflect the world by using ‘Escape’ as its prime method. The choice he made in the latter period was to use text as a ‘Mirror’, not as a vessel. By mirroring the world of readers through the format of the text, he conveyed the world to readers as it is. This is not conveying the reality of the world to readers by reconstructing or reproducing it into the reality inside the novel, however, is inducing readers to directly face the issues of the world in the course of reading by reflecting the true nature of the world that cannot be defined through format. This study analyzed said idea in three chapters in the main text. First, Chapter 1 focused on the non-instrumental use of language in Seo’s novels and examined the aspect of ‘Escape Participation.’ Seo’s novels shake the implicit belief toward the congruence between language and the target in the system of instrumental language. This eventually let readers experience the chaotic nature of the world hiding behind the system of language and dismantle the fixed idea of the world. Also, novels arrange sentences centering on signifiers to emphasize the objectness of the language. Here, the rhythm created by the array of signifiers weaken the intellectual order of existing novels which was formed based the meaning of contents and strengthen the emotional order, and the strength of this emotional order contributes to the conveyance of the entire meaning and context of the sentences to form the context of participation which forms the hierarchy of equality between intelligence and emotion. Chapter 2 examined the principle of participation of spoken words and conversational modes which are manifested most prominently in the experiments with formats in Seo’s novels. First this chapter analyzed how his novels depicted the flexible and contradictory aspects of the world using the freedom from logic that spoken words have unlike written words as it embodied the ‘irony’ in the contents of conversation between characters in the novel. It also intended to discuss the principle of ‘motility’ of conversation where an abstract idea enters the dimension of practice in the course of word exchange between characters. Readers begin to think about the critical mind concerning the usual living with the characters by engaging in the motility of conversation in the course of reading, and this chapter examined the participation taking place in that process. Finally, Chapter 3 analyzed the effect of participation appearing in the dimension of narration. Seo’s novel has characters that accept coincidences or deviations in the world completely heteronomously, and the aspects of these characters give readers indirect experience of the unpredictable characteristics of the world as this heteronomous attitude toward life of the characters that doe not estimate and make plans for the future creates an exceptional aspect against the reaction of the character that readers can predict while reading the text and doubles the undefinable characteristics of the world. Also, the text questions readers through ‘gap’ and ‘delay’ strategy or ‘retroactive suggestion’ technique or gives a chance to reinterpret the universal concept that they have consistently depended on or central characters. This is understood as the strategy to induce readers to approach the text on their own, and readers attempt to fully engage in the issue of the world proposed through the text through the question given to them. Seo chose format as the best way to write about the true nature of the world in his novels. Seo’s literary attempt to convey his consciousness using the pure effect and strength of format proves that he also wanted to achieve literary perfection as much as he was interested in reflecting the reality in his works. This also shows that he had two dreams-pure aesthetics and engagement in reality-and had continuously made efforts fulfill both. In this aspect, this study defined Seo’s attempt as ‘Escaping Participation.’ When Seo’s literary attempt is given a new light for the value of participation, the works including his novels that attempts to understand life through literature and achieve literary perfection through life will gain meaningfulness for its participation as the writing of ‘practice’ attempted for the congruence between aesthetics and participation while prepared for ‘failure.’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