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화 뉴스 서비스 이용자의 이슈 중요도와 뉴스관 인식에 관한 연구 : 뉴스 이용특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Issue Importance and News Perceptions of Personalized News Service User:Focusing on News Use Characteristics
- 주제(키워드) 개인화 , 개인화 뉴스 서비스 , 알고리즘 저널리즘 , 뉴스 이용특성 , 의제설정효과 , 뉴스관 , 정향욕구 , personalization , personalized news service , algorithm journalism , news use characteristics , agenda-setting effect , news perceptions , need for orientation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 지도교수 김균
- 발행년도 2016
- 학위수여년월 2016.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언론대학원 방송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60141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이 논문은 뉴스의 생산부터 유통까지 매체 환경이 급변하는 상황에서 다가올 ‘넥스트(Next)’에 대한 고찰이 향후 디지털 저널리즘의 나아갈 바에 대한 방향타를 가늠하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라는 생각에서 출발하였다. 수익성 확충도 좋지만, 필요한 뉴스보다 입맛에 맞는 뉴스만 제공하는 방향이 굳어진다면 저널리즘의 기본 가치가 훼손될 수 있다는 우려도 있었다. 본 연구는 개인별로 취향에 맞는 뉴스만 따로 보여주는 ‘개인화 뉴스 서비스’가 개인의 관여 유형과 뉴스 미디어의 의제설정 기능이라는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공중 의제와 뉴스관 인식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개인화 뉴스 서비스 사용자의 뉴스이용 특성을 분석하고, 이들이 현재 중요한 의제가 무엇이라고 인식하고 어떤 뉴스관을 갖고 있는지 비교·분석하였다. 알고리즘 기반의 개인화 뉴스 서비스는 방대한 정보의 홍수 속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뉴스를 빠르게 찾아준다는 취지로 KBS, 조선일보, 한겨레 등 수많은 언론사와 다음카카오 등 미디어 기업이 잇따라 도입했다. 뉴스 유통 측면에 개인화 뉴스가 있으며 뉴스 생산 측면에 로봇 기자가 있다. 이러한 ‘알고리즘 저널리즘’은 뉴스 공급의 새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그러나 이것이 뉴스 사용자에게 어떤 영향을 주고 있으며 부작용은 없는지에 대한 고찰은 전무했다. 향후 적용범위는 더욱 광범위해질 예정인데, 사회적 의제의 공론장으로서 언론의 기능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사용자들은 뉴스 소비에 있어 어떤 변화를 보이고 있는지 점검과 보완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이를 위해 2016년 5월 4일부터 5월 9일까지 6일간 여론조사 전문기관 엠브레인에 의뢰하여 19세 이상 뉴스 사용자 336명에 대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주요 변수와 측정 항목은 개인화 뉴스 서비스 이용여부와 인식 및 만족도, 뉴스 이용특성, 이슈 중요도, 뉴스관, 정치참여의식 수준이며, 방법적으로는 SPSS 21.0버전을 이용한 기술적 통계분석과 T-검증, 일원분산분석(ANOVA)을 활용했다. 주요 분석결과를 보면 첫째, 정향욕구 및 사회적 관여가 높은 사람일수록 뉴스 소비에 적극적이었다. 둘째, 개인화 뉴스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람일수록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시사이슈’에 중요도를 높게 부여하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개인화 뉴스 서비스를 사용하면서 뉴스 이용시간이 많은 사람일수록 뉴스의 정보가치와 공공가치를 중요하게 생각했다. 한편, 개인화 뉴스 서비스 도입에 대한 사용자의 인식은 부정적인 내용이 더 많았다. 이는 애초 연구자가 ‘개인화 뉴스 서비스에 많이 노출될수록 연예·스포츠 등 연성뉴스 위주의 소비가 더 빈번하게 일어날 것이며, 전통적인 언론의 의제설정 기능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예상했던 방향과는 다소 달랐지만 오히려 새로운 시사점도 있었다. 그동안 온라인 환경으로 이동할수록 뉴스 소비가 연성화·피상화된다는 선행 연구가 다수 있었지만 개인화 뉴스의 경우 이와 대비되었다. 적어도 개인화 뉴스 서비스같은 새로운 매체환경을 상대적으로 빠르게 수용하는 ‘얼리어답터’ 성향의 사람들은 정보습득을 위한 뉴스 소비에 더 적극적이며 사회적 관여, 즉 ‘공적 얼굴’을 더 자주 노출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아울러 향후 연구는 개인화 뉴스 서비스가 보다 대중화된 이후의 양상을 재확인하는 작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현재 업계에서 진행되고 있는 ‘뉴스 알고리즘 공개 논란’이 어떤 방향으로 결론이 나느냐에 따라 또 다른 시사점도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more초록/요약
This paper started from the thought that a consideration on the upcoming ‘Next’ is an indispensable element to weigh up the direction of future digital journalism in the rapidly changing media environments ranging from production to distribution. There has been a concern that only providing news, which suit personal tastes, rather than necessary news might damage the fundamental value of journalism, although it is good to expand profitability.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s of ‘personalized news service’, which only shows news that suit personal tastes on public agendas and news perceptions,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s; types of personal involvement and agenda-setting function of news media. For achieving this purpose, news use characteristics of personalized news service users and important agenda of the present time perceived by users were analyzed and their news perceptions were compared. Algorithm-based personalized news service has been introduced by a lot of press including KBS, CHOSUN ILBO, HANKYOREH and media companies including DAUM KAKAO to search news that users want quickly in the flood of vast information. Personalized news is related to news distribution and robot report is related to news production. This ‘algorithm journalism’ is becoming a new topic of news supply. However, there have been few considerations on its effects on news users and its side effects. The scope of application would be broader in the future. Therefore, it was thought that there was a need to analyze its effects on functions of media as a public sphere for social agendas and the changes of users in news consumption. For this study, a survey with 336 news users aged 19 or above was conducted by a public poll agency, EMBRAIN for 6 days from May 4th to 9th 2016. The use of personalized news service, perceptions and satisfaction, news use characteristics, issue importance, news perceptions and levels of political participation consciousness were measured as major variables and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arried out using SPSS 21.0. The major analysi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eople with high needs for orientation and high social involvement were aggressive about news consumption. Second, people, who used personalized news service tended to attach bigger importance to ‘current issues’ than those that used personalized news service less. Third, people who used personalized news service and had a lot of time to use news regarded information value and public value of news as important. On the other hand, more users were negative about introduction of personalized news service. This was little different from the prediction of the researcher that ‘When people are exposed to personalized news service a lot, soft-style news related to entertainment and sports would be consumed more frequently and it would influence the agenda-setting function of traditional media.’, but there was a new implication. Although there have been preceding studies arguing that news consumption became soft and superficial in the online environment, personalized news showed a contrast to this. It is interpreted that at least ‘early-adopters’, who accept new media environments like personalized news service relatively fast are more aggressive about news consumption for acquisition of information and expose ‘public faces’ more frequently as part of social involvement. Further research would need to reconfirm aspects of personalized news service after it is more generalized. Moreover, it is expected that the conclusion on the ‘news algorithm open’ issue in the industry would bring another implicatio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