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국내주식형펀드의 운용성과와 펀드설정액간의 관계연구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uth Korean equity-type fund performance and fund AUM

초록/요약

본 연구에서는 국내주식형펀드의 운용성과와 펀드설정액간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국내주식형펀드를 공모펀드와 사모펀드로 분류하여 펀드의 운용성과와 펀드설정액간의 관계에서 차이를 보이는지 비교분석 하였다. 연구는 국내주식형펀드시장이 본격적으로 성장하기 시작한 2007년 5월부터 2016년 4월까지 기간의 일별 데이터를 바탕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변수간의 동태적인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벡터시계열모형을 활용하였다. 단위근 검정 결과, 모든 변수가 단위근이 존재하는 불안정 시계열 데이터로 나타나 허구적 회귀가 발생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단위근을 갖는 시계열을 차분을 통해 안정화 시킨 후 분석을 할 수 있으나, 차분을 통한 안정화는 시계열이 갖는 잠재정보를 훼손하고 장기적인 관계를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공적분 검정 실시 후 공적분이 존재하는 변수 들은 벡터오차수정모형(VECM)을 활용하여 장·단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하지만, 공적분 관계가 존재하지 않아 장기적인 관계를 확인할 수 없는 변수들은 차분한 후, 벡터자기회귀모형(VAR)을 활용하여 관계를 분석하고 충격반응결과를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공모펀드운용성과와 공모펀드설정액간에는 (-)피드백 거래가 이루어지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고 장·단기적 관계 모두 (-)로 일관된 관계를 보였다. 그리고 추가변수로 국고채3년금리를 포함하여 분석한 결과, 단기적으로는 펀드의 운용성과와 동일하게 (-)피드백 거래가 이루어지다가 장기적으로 (+)피드백 거래가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모펀드의 경우 공모펀드와는 달리 변수들 간의 공적분이 존재하지 않아 장기적 균형관계는 존재하지 않았다. VAR을 통한 결과는 공모펀드와 동일하게 (-)피드백 거래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였으나, 그 유의성이 낮아 변수 상호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통해 펀드운용성과와 펀드설정액간의 장·단기적 동태적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즉, 펀드의 운용성과 상승 시 차익실현에 따른 환매자금 증가로 펀드설정액이 감소하며, 펀드의 운용성과 하락 시 저가매수자금의 유입으로 펀드설정액이 증가하는 (-)피드백 거래이다. 또한, 이러한 관계가 공모펀드에서는 그 관계가 뚜렷하게 나타났으나 사모펀드의 경우는 유의성이 떨어지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차이는 펀드의 자금을 모으는 방식, 가입제한에 따른 투자주체의 차이 등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즉, 공모펀드의 경우 공모에 의한 투자조건에 제약이 없어 개인투자가 대부분이고 투자자의 추가납입에 의한 자금유입이나, 환매에 의한 자금유출에 제약이 없어 충격반응이 뚜렷하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사모펀드의 경우 49인 이하의 투자자에게서 자금을 모으며 투자자의 대부분이 기관투자자라는 점과 기관별 성과평가를 바탕으로 추가납입, 환매가 이루어진다는 점 때문에 상호관계의 유의성이 낮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seek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outh Korean equity-type fund performance and fund AUM. Specifically, the South Korean equity-type funds were divided into public funds and private funds to compare and analyze if there were any differ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und performance and fund AUM. The study analysis bases on the daily data from May 2007 when the domestic equity-type fund market began to grow at full rate until April 2016. To investigate the dynamic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the vector time series model was employed in this research analysis. As a result of the unit root test, every variable was found to have non-stationary time series data having unit root, showing potential spurious regression. The time series with such unit root may be differenced to stabilize for analysis. But stabilization through differencing damages the potential information of time series and does not inform about any long-term relationship. Therefore, after completing the co-integration test, variables having co-integration were analyzed for their short/long-term relationships by using the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VECM). However, variables without co-integration through which long-term relationship could not be looked in were analyzed with the Vector Autoregressive Model (VAR) after differencing for their relationships and impulse response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research, negative feedback transaction was found between public fund management outcome and public fund amount and both short/long-term relationship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consistently. As an additional variable, the 3-year ROK treasury interest was included in the analysis. As a result, it was found, in the short term, negative feedback transactions were made identically to the fund management outcome whereas, in the long term, positive feedback transactions were observed. Unlike the public funds, private funds were found to have no co-integration, showing no long-term equal relation. The VAR herein found identical result to the public fund case that negative feedback transactions were pursued but its significance was too low to understand the mutual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Based on the study findings above, the short/long-term dynamic relations between fund management outcomes and fund amounts were identified. That is, when fund management performance increases, fund amounts decrease due to the rising redemption for taking profits; and when fund management performance decreases, fund amounts increase thanks to the inflowing capital to buy at lower prices, demonstrating negative feedback transaction. Such a relationship appeared clearly in the public funds but its significance was lower in the private funds. This gap was deemed because of the fundraising methods, different investing parties under subscription limits, etc. In other words, the public funds showed clearer impulse response since public funds limit no investment conditions through public participation, so they have individual investors for the most part and have no limit on depositing by investors for additional payment or withdrawal for redemption. The private funds, however, showed lower significance in mutual relationships because they collect funds from no more than 49 investors so most investors are institutional investors and additional pay-in or redemption is made based on performance evaluation.

more